초록 열기/닫기 버튼

자연법학은 근대 초기 유럽의 사상 지형도에서 공화주의와 함께 정치적 세계관을 양분할 정도로 비중이 컸다. 공화주의 패러다임은 무엇이 자유와 부국강병에 좋고 나쁜지를 따졌으나, 자연법 패러다임은 무엇이 신의 질서 혹은 이성의 질서에 비추어 옳고 그른지를 따졌다. 개인의 삶에서나 사회적ㆍ정치적 전망에서나 두 패러다임은 중요성의 우선순위를 상이하게 설정했다. 공화주의자가 강하고 역동적인 사회에서의 자유로운 삶을 꿈꿨다면, 자연법학자는 법이 지배하는 정의로운 사회에서의 평화로운 삶을 추구했다. 이 같은 자연법 패러다임의 역사적 형상을 포착하려면 그것의 기독교적 뿌리와 도덕적 세계관을 이해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계몽의 시대와 프랑스혁명 이후 서구 개혁가들에 의해 전유된 자연권과 민주주의 언어 너머에 있는 근대 초기 자연법학의 토대를 파악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고는 의무와 권리로써 정의를 확립한다는 자연법학의 기본 전제에서부터 논의를 시작해서 인간본성론, 사회사상, 정치사상으로 이어지는 논리적 연쇄를 철학적이기보다는 역사적인 관점에서 서술함으로써 자연법의 세계관을 하나의 큰 그림으로 그려내고자 한다.


Natural jurisprudence was one of the most important intellectual traditions, along with republicanism, that weighed upon early modern European thought. If Republicans were concerned with popular Libertas and the health of states, the self-imposed task of natural lawyers was to find out what, in God’s or Reason’s eyes, was right and what was wrong. To live freely in a dynamic society was the goal of republican thought, whereas the priority of natural jurisprudence was to lead a peaceful life in a just society ruled by law. To understand the latter tradition in historical terms, one must grasp its Christian roots and moral worldview. Beyond the post-Enlightenment and French revolutionary concepts of natural rights and democracy appropriated by reformers, this article delineates the basic tenets of natural law from a historical perspective, dealing with its most crucial components such as duties and rights, human nature, social design, and political thou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