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Objectives: The primary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temporal measurements and swallowing impairment. The secondary aim was to identify potential relationships among age, lesion side, clinical swallowing outcomes, fifty-six consecutive unilateral patients (mean age=64.73 years, SD=13.45, left damage=28 patients, right damage=28 pati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Methods: A videofluoroscopic swallowing study (VFSS) was performed using a single bolus of 5 mL of thin liquid. All patients completed both a magnetic resonance imaging study and VFSS. VFSS images were evaluated using the Modified Barium Swallowing Impairment Profile (MBSImP). Kinematic aspects of swallowing were characterized according to oral transit duration, pharyngeal transit duration, laryngeal response duration (LRD), and laryngeal closure duration (LCD). Path analyses were utilized to explore the relationships between age, lesion side, temporal measurements, and MBSImP score. Results: The results indicated that advanced age was associated with increased oral swallowing impairment and longer laryngeal response in unilateral stroke patients (p<.01). In addition, longer LRD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increased oral swallowing impairment (p<.05). Longer LRD and shorter LCD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increased pharyngeal swallowing impairment (p<.01). Right hemisphere damage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increased pharyngeal impairment (p<.01). Conclusion: The present study was the first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temporal measurements and MBSImP score, and the findings confirmed that swallowing outcomes via VFSS can provide physiologic evidence related to swallowing impairment in unilateral stroke patients. We discuss clinical markers to predict the risk of progression to swallowing impairments that may be useful as targets to effectively manage stroke patients with swallowing impairment.


배경 및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대뇌 편측 손상에 의한 뇌졸중 환자의 삼킴 시간과 삼킴 장애와의 연관 관계를 조사하는 것이었다. 또한, 손상 위치에 따라 삼킴 기능에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대뇌 손상 위치와 삼킴 검사 결과 간의 연관 관계도 함께 조사하였다. 방법: 대상자는 대뇌의 편측만 손상된 뇌졸중 환자 56명이었다(평균 연령=64.73세, SD=13.45). 뇌졸중 환자는 모두 자기공명영상 검사와 비디오투시조영삼킴 검사(Videofluoroscopic swallowing study, VFSS)를 수행하였으며, 삼킴 평가에는 연한 농도의 액체 5 mL가 사용되었다. VFSS를 이용한 삼킴 기능 평가에는 수정된 바륨 삼킴 장애 프로파일(Modified Barium Swallowing Impairment Profile, MBSImP)과 삼킴 시간(구강통과시간, 인두통과시간, 후두폐쇄유발시간, 후두폐쇄지속시간)을 측정하였고,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두 변수 간 연관 관계를 조사하였다. 이때 삼킴 기능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병변 위치, 연령 등을 고려하여 경로 분석을 실시하였고 각 변수들 간의 영향력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대뇌 편측 뇌졸중 환자는 연령이 증가할 수록 구강 삼킴 장애가 심해지고 후두폐쇄유발시간이 더 길어지는 것으로 조사되었다(p<.01). 후두폐쇄유발시간이 길어지면 구강 단계 삼킴 장애에도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또한 후두폐쇄유발시간이 길어지는 것과 후두폐쇄지속시간이 짧아지는 것은 서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이는 인두 삼킴 장애에도 영향을 주었다(p<.01). 우뇌 손상은 인두 삼킴 장애와 연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1). 논의 및 결론: 편측 손상 뇌졸중 환자의 삼킴 장애를 예측하기 하기 위한 지표로서 MBSImP와 삼킴 시간 간 연관 관계를 살펴보았고 두 삼킴 결과 간 밀접한 연관 관계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