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중학교 3학년과 고등학교 3학년의 스마트폰 이용행태 잠재계층을 분류하고, 각 시기의 계층별 특성과 성별, 자아존중감, 부모와의 관계, 교우관계, 특성화고 여부(고등학생의 경우)의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중학교 3학년에서 고등학교 3학년으로의 계층 간 전이가 일어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교육종단연구(SELS 2010) 6차년도와 9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였고, 잠재전이분석(Latent Transition Analysis)을 적용하였다.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중학생의 잠재계층은 ‘과사용 집단’, ‘평균사용 집단’, ‘고사용 저불안 집단’, ‘저사용 집단’, ‘정보검색 빈번 집단’의 5개 집단으로 분류되었으며, 고등학생의 잠재계층도 5개로 분류되었으나, 중학생의 잠재계층에서 ‘고사용 저불안 집단’은 사라지고, ‘취침 전 사용 집단’이 새로운 패턴으로 나타났다. 전이확률 결과에서는 중학생과 고등학생 시기에 중복된 4개 잠재계층에서 절반이 넘는 중학생(잠재계층 유지 비율 각 34.1%, 23.2%, 53.7%, 43.4%)이 잠재계층을 유지하지 못하고 다른 계층으로 전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학교와 고등학교의 잠재계층이 유사하게 나타났으나 그 구성원에서는 변화가 큰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스마트폰 이용행태의 잠재계층을 파악하고, 전이 양상을 파악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스마트폰 사용으로 인한 문제를 예방하기 위한 적절한 대책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This study aimed to classify the latent classes of smartphone usage behaviors of third graders of middle - and high-schools, to identify characteristics of each class, and to estimate transion patterns between the third graders of middle- and high-schools. For the aims of the study, data from the 6th and 9th years of the Seoul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SELS 2010) were utilized, and Latent Transition Analysis was applied. According to the analysis, latent classes of middle school students were classified into five groups: 'over usage group', 'average usage group', ‘high usage & low anxiety group’, 'low usage group', 'information search group'. And, latent classes of high school students were also classified into five groups: 'over usage group', 'average usage group', ‘pre-sleep usage group’, 'low usage group', 'information search group' Based on the results, it was demonstrated that the ‘high usage & low anxiety group’ disappeared from the latent classes of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at the ‘pre-sleep usage group’ emerged as a new pattern in high school students. The transition probability results showed that more than half of middle school students did not to maintain their latent classes and transfer to other classes. Generally, the latent classes of middle- and high-schools were similar. However, members of latent classes changed across middle- and high-school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identifies the latent class of smartphone usage behaviors, identifies the transition patterns, and further suggests the needs for appropriate measures to prevent problems of excessive smartphone us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