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개인특성 변인인 주도성이 경력적응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데 있다. 이에 따라 주도성, 경력적응성, 프로틴 경력태도의 관계를 확인하였고, 주도성과 경력적응성 간의 관계에서 프로틴 경력태도의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또한 프로틴 경력태도와 경력적응성 간의 관계에서 자기주도학습능력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3년 이상 경력을 가진 250명의 직장인들에게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분석 결과 주도성은 프로틴 경력태도와 경력적응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프로틴 경력태도도 경력적응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프로틴 경력태도는 주도성과 경력적응성 간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프로틴 경력태도와 경력적응성 간의 관계에서 자기주도학습능력이 조절효과를 나타내었고, 이는 자기주도학습능력이 높을수록 프로틴 경력태도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조직구성원의 경력적응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의의, 제한점과 향후 논의 사항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Proactive Personality, Protean Career Attitude and Career Adaptability. Specifically,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ediating role of Protean Career Attitud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active Personality and Career Adaptability. In addition, this study examined a moderating effect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tean Career Attitude and Career Adaptability. 250 Korean employees data were collected via online survey and analyzed. They were working in various organizations and had more than 3 years of working experience.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positive relationships among Proactive Personality, Career Adaptability and Protean Career Attitude. Second, the effect of Proactive Personality on Career Adaptability was partially mediated by Protean Career Attitude. Third, there was a moderating effect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tean Career Attitude and Career Adaptability. Based on these results,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ith the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