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AI 스피커가 AI 음성 비서를 매개하여 실행되는 방식에 주목하였다. 이 과정에서 AI 음성 비서와 사용자 간의 커뮤니케이션이 AI 스피커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분석을 실행하였다. 독립변인은 AI 음성 비서의 의인화 개성(인간성, 전문성, 사회성), 사회적 실재감, 개인화로 구성하였고, 종속변인은 AI 스피커의 4가지 서비스 범주에 대한 이용으로 설정하였다. 분석 자료는 온라인 설문조사로 AI 스피커 사용자 333명의 데이터를 수집하였고 다변인 회귀분석을 통해 모델의 적합성과 요인별 영향관계를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AI 음성 비서의 의인화 개성, 사회적 실재감, 개인화는 AI 스피커의 서비스 범주에 따라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 서로 다르게 구성되었다. 커머스·쇼핑 서비스는 인간성 의인화 개성, 전문성 의인화 개성, 사회적 실재감이 이용에 영향을 주었고, 교육 서비스는 사회적 실재감만 이용에 영향을 미쳤다. 엔터테인먼트 서비스는 전문성 의인화 개성, 개인화가 이용에 영향을 미쳤고, 뉴스·생활정보 서비스는 인간성 의인화 개성, 전문성 의인화 개성, 개인화가 이용에 영향을 주었다. 또한 요인들 중에서 전문성 의인화 개성은 교육 서비스를 제외한 다른 3가지 서비스 이용에 주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커뮤니케이션 과정에서 AI 스피커 사용자가 지각한 AI 음성 비서의 특성이 AI 스피커의 서비스 이용에 미치는 실증 요인을 밝혀내고 서비스 범주별로 차별화된 결과를 제시한 점에서 시사점을 제공한다.


This study analyzed how AI speakers are executed by mediating the AI voice assistant. To better characterize AI speakers, an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to determine whether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AI voice assistant and the user affects the use of the AI speaker by users. Independent variables included anthropomorphism personality (humanity, professionalism, sociality), social presence, and personalization of the AI voice assistant. Dependent variables included the use of four service categories of the AI speaker. The survey was commissioned by a professional online survey institution to collect data from 333 AI speaker users. The influence and relationship of each factor were determined through multivariate regression analysi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nthropomorphism personality, social presence, and personalization of the AI voice assistant were configur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service category of the AI speaker. In commerce and shopping services, we found that the personification of humanity, the personification of professionalism, and a sense of social presence affected the use, and that the education service only affected the use of social presence. In entertainment services, professional anthropomorphization and personalization affected the use, and in news and life information services, the personification of humanity, professionalism, and personalization affected the use. Additionally, among the factors, professional personification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use of three other services except for education services.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y that the characteristics of AI voice assistant perceived by the AI speaker user during the communication process are indicative of empirical factors affecting the service use of the AI speaker. Results also vary by service categor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