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This study provides an overview of 120 years of translation of Korean literature in Russia. The analysis sheds light on Korean literature in translation as an accomplishment of Korean studies and provides suggestions for the development of Korean studies in Russia. A total of 333 Korean works of literature have been translated so far. The characteristics of the translation are as follows: 1) the novel is the most translated genre, and translation of the contemporary novel has increased significantly since the establishment of the diplomatic relationship between Korea and Russia, resulting in a lack of diversity in terms of genre; 2) the scope of authors has expanded greatly since the diplomatic relationship, but more authors need to be discovered in the classical novel and poetry genres; 3) co-translation between Korean and Russian increased after the diplomatic relationship, but most collaborations have been one-off events, and Koreans need to participate more in the translation of classics; and 4) few major publishers have published 30% of the total Korean literature translations available on the market, while 70% of translations have been conducted by other publishers as a one-time event. Based on the analysis, the study suggests as follows: 1) more diverse genres of Korean literature need to be translated; 2) more Korean studies related scholarly books need to be published; 3) translation of classical literature needs to be revitalized by fostering translators specialized in Korean classical literature; and 4) more professional translators and publishers specialized in Korean literature need to be nurtured.


본 연구는 120년간 러시아어로 번역된 한국문학의 출판 현황, 동향, 특징을 조사 ․ 분석함으로써 한국학의 성과로서 한국문학의 러시아어 번역사를 고찰하고, 러시아의 한국학이 보다 발전할 수 있는 방향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분석 결과 단행본 기준으로 333종이 집계되었다. 1) 장르별 현황을 분석한 결과 소설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였으며, 수교 이후 현대 소설만 크게 늘어나 장르적 다양성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2) 작가별 현황을 분석한 결과 수교 이후 작가의 폭이 크게 늘어났으나, 고전 소설과 시에서 새로운 작품 발굴이 이루어지지 않는 것으로 드러났다. 3) 번역사별 현황을 분석한 결과 수교 이후 한국인 번역 참여 및 외국인과 한국인과의 공역이 늘었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대부분 1-2종 단발성 번역에 그치고 있으며, 고전문학에서 한국인 번역사의 참여가 저조한 것으로 드러났다. 4) 출판사별 현황을 분석한 결과 특정 출판사가 한국문학 번역서의 약 30%를 담당하고 있고, 70%의 출판사가 1~2종의 단발성 출판에 그치고 있었다. 이를 기반으로 본 연구는 러시아에서의 한국학 발전을 위해 한국문학의 장르적 다양성 확보, 한국학 관련 전문 서적 번역의 확대, 고전 문학 번역의 활성화와 고전 전문 번역가 양성, 한국문학 전문 번역가와 전문 출판사의 확대를 제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