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한국인들의 젠더정체성에 대한 직접적인 측정을 통해 생물학적인 성별이 아닌 사회학적인 젠더정체성을 이용하여 젠더갈등을 분석한다. 특히, 젠더갈등에 대한 간접적인 측정방식에서 벗어나, 사회정체성 이론에 근거하여 내집단 성별과 외집단 성별을 구분하고, 각각에 대한 정서적 태도격차로서 표현되는 젠더갈등을 측정함으로써 분석을 실시한다. 본 연구의 주요 분석결과에 따르면, 첫째, 한국인들의 젠더정체성은 성별과 소속집단에 따라 그 수준이 상이하다. 둘째, 사회정체성 이론이 제시하듯이, 젠더정체성이 높을수록 젠더갈등의 수준도 높다. 또한, 이러한 패턴은 남성보다 여성에게서 더욱 두드러진다. 셋째, 다른 연령집단보다 20대가 더 높은 젠더갈등 수준을 보인다. 넷째, 젠더갈등 수준이 높은 사람들일수록 정당정치에서의 정서적 양극화 수준도 높은 것으로 확인됨에 따라 젠더갈등의 정치화 가능성을 시사한다.


We examine gender identity and gender conflicts among South Koreans. By measuring gender identity, we analyze gender conflicts via sociological gender, instead of biological sex. In addition, relying on social identity theory, we provide direct measures of gender conflicts based on in-group and out-group gender. According to our findings, first, the level of gender identity is different depending on one's sex, income level, residence region, religion, and partisanship. Second, individuals with higher levels of gender identity are more likely to show higher levels of gender conflicts. And, this pattern is more salient among women than among men. Third, the twenties are more likely than other age groups to have higher levels of gender conflicts. Lastly, as individuals have higher levels of gender conflicts, they are more likely to show higher levels of partisan affective polarization as well, which implies the possibility of politicization of gender conflic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