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는 2015 개정 교육과정 성취기준 ‘[9국05-08] 재구성된 작품을 원작과 비교하고, 변화 양상을 파악하며 감상한다’를 통해 ‘문학’ 영역의 ‘재구성’과 관련된 교육과정을 비판적으로 고찰하였다. 재구성과 관련된 내용은 창작교육의 일환으로 7차 교육과정 시기에 본격적으로 도입되어 2009 개정 교육과정까지 초등학교에서는 성취기준 차원에서, 중․고등학교에서는 교수․학습 방법 차원에서 다루어졌다. 그러나, 2015 개정 교육과정부터 재구성과 관련된 내용은 크게 달라진다. 초등학교 교육과정에서 중학교 교육과정으로 이동하였기 때문에 중학교에서도 성취기준 차원에서 재구성과 관련된 내용을 설정하게 되었다. 또, 재구성과 관련된 내용에 대한 학습 없이도 학습자가 자신의 경험을 표현할 수 있도록 교육과정이 재편되었다는 점에서 재구성을 협의의 창작 이전 단계의 활동으로 보는 관점에 변화가 생겼다. 그리고 재구성과 관련된 내용은 중학교로 이동하며 표면적으로는 ‘생산’에서 ‘수용’으로 그 초점이 달라졌으나 실제로는 두 가지 모두를 염두에 두었으며, 매체 요소도 포함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2015 개정 중학교 『국어』 교과서를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재구성된 작품을 본문 제재로 삼는 경향이 있고 특히 서사성 있는 작품이 선호되었다. 고전소설 또는 동화가 본문 제재로 다수 수록되었는데, 이는 성취기준을 만족하면서도 학습량 부담을 해소하려는 방안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러한 의식적 노력에도 불구하고 실제 교과서는 학습량이 과다하거나 학습활동에서 교육과정의 내용을 기계적으로 반영하는 경우가 다수 발견된다. 특히 매체와 관련된 부분에서 이러한 문제가 두드러진다. [9국05-08]은 창작교육을 중학교 ‘문학’ 영역의 성취기준 차원에서 구체화하였다는 점, 7차 교육과정 시기 설정된 창작교육에 대한 관점의 변화를 보여준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그러나 학습량 과다 및 실제 교과서 구현에 따른 부담을 고려한 적절한 교육과정 해석이 마련될 필요 또한 있다.


This paper critically reviews the curriculum related to the “reconstruction of literature” through the achievement criteria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compare the reconstructed works with the original, then identify and appreciate the changes.” The content related to the reconstruction was introduced in earnest during the 7th Curriculum as part of a creative education approach. Up to the 2009 Revised Curriculum, it was dealt with in terms of achievement standards in elementary schools and in terms of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in middle and high schools. With the 2015 Revised Curriculum, however, the content related to reconstruction has changed significantly. Since the focus has shifted from the elementary to the middle school curriculum, middle schools have also set up content related to the reconstruction in terms of achievement standards. In addition, there has been a change in the view that reconstruction, in a narrow sense, is an activity belonging to the pre-creation stage given that the curriculum has been reorganized so that learners can express their experiences without learning about the content related to reconstruction. The content related to reconstruction shifted to middle school, and on the surface, the focus changed from “production” to “accommodation,” but in fact both were considered, and media elements were also included. An examination of the 2015 Revised Middle School “Korean Language” textbook based on this indicates the following results. Reconstructed works tended to be used as text materials, and narrative works were especially preferred. Several classic novels or children's stories were included as text materials, apparently as a means to reduce the amount of work while satisfying the achievement standards. However, despite these conscious efforts, there were many instances of excessive workload or cases in which the curriculum content was applied mechanically to the learning activities. This problem was particularly pronounced in media-related areas. The significance of [9KOR 05-08] is that it specified creative education in terms of achievement standards in middle school literature and indicated a change in perspectives on creative education established during the 7th Curriculum. However, an appropriate interpretation of the curriculum is necessary given the excessive workload and the burden of actually implementing the textboo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