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연구목적: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그릿, 교수효능감,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관계를 알아보고, 그릿이 교수효 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매개역할을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방법: 유아교사 260명을 대상으로 그릿, 교수효능감,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 으며,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Hayes(2013)의 PROCESS macro의 병렬다중매개모형 검증방법(Model 4번)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교사의 그릿, 교수효능감은 보통보다 높은 수준이었으며 교사-유아 상호작용은 4점 이상으로 높은 수준으로 인식되었다. 둘째, 유아교사의 그릿과 교수효능감, 그릿과 교사-유아 상호작용, 교수 효능감과 교사유아 상호작용은 유의한 수준에서 정적 상관이 있었다. 셋째,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대한 병렬다중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에 따르면 유아교사의 그릿과 교수효능감의 관계에서 언어적 상호작용, 행동적 상호작용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였으며, 그 중 언어적 상호작용의 매개효과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유아교사의 그릿과 교수효능감의 관계에서 정서적 상호작용을 제외한 언어적 상호작용과 행동적 상호작용이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교수효능감을 증진하기 위해서는 그릿,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대한 질적 증진을 위한 과정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Objective: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grit, teaching efficacy,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verified whether the effect of grit on teaching efficacy was mediated by various variables of teacher-child interactions. Method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namely Pearson’s correlations using SPSS 25.0. Furthermore, the parallel multiple mediation effect was analyzed using the Process macro for SPSS version 3.4 Results: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degrees of grit, teacher efficacy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were higher than the median points. Second, teachers’ linguistic and behavioral interactions partially mediated the effect of grit on teacher efficacy. Results from testing a parallel multiple mediator model indicated that linguistic interaction and behavioral interaction had significant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grit and teacher efficacy; linguistic interaction had the largest indirect effect, while emotional interaction had no significant indirect effect. Conclusions: We discuss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results and present limitations as well as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