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We measure Environmental Efficiency (EE) based on CO2 in four income groups from 1998 to 2018, using the Meta Stochastic Frontier Analysis method by Input Distance Function. Our results showed that economic growth and energy consumption would increase carbon dioxide emissions, and increasing labor and capital input will reduce it. Moreover, we compared Group Environmental Efficiency (GEE), Meta Environmental Efficiency (MEE), and Environmental Gap Ratio (EGR). The results showed that GEEs were be overestimated. Furthermore, the MEE showed a downward trend during this period. The lower-middle-income group had the highest EGR performance. High-income and upper-middle-income groups showed less efficiency in MEE and EGR. To improve environmental efficiency, we must reduce fossil fuels and find more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ways to solve existing environmental problems as soon as possible.


본 연구는 투입물 거리함수에 의한 메타확률 프런티어 방법을 사용하여 1998년부터 2018년까지 4개 소득그룹의 이산화탄소 기준의 환경효율성(EE)을 측정하였다. 에너지 소비가 이산화탄소 배출을 증가시키고, 노동과 자본투입을 증가하면 이산화탄소 배출을 감소시킬 것임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그룹환경효율성(GEE: Group Environmental Efficiency), 메타환경효율성(MEE: Meta Environmental Efficiency) 및 환경격차(EGR: Environmental Gap Ratio)를 비교하였다. 결과는 GEE가 과대평가되고 MEE는 이 기간 동안 하향세를 보여주고 있다. 중하위 소득그룹의 EGR은 가장 높았다. 그리고 고소득 및 중상위 소득그룹의 MEE 및 EGR이 상대적으로 낮았다. 환경효율성을 높이려면 화석에너지를 저감하고 기준 환경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이 보다 과학적이고 기술적인 방법을 찾아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