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현대는 근대로부터 탈근대로 넘어가는 시대적 과도기에 놓여 있다. 이러한 현상은 교육적 상황에서도 유효하다. 지금의 교육은 시대적 변화에 대응하여 새로운 교육적 패러다임들이 시 도되고 있지만, 그러한 시도의 단면에는 탈근대성과 더불어 여전히 잔재 되어 있는 근대성이 혼재되어 있음을 살펴볼 수 있다. 이 연구는 레비나스의 윤리학을 통해 유아와 교사의 관계의 미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근대성이 갖는 중심화된 관계, 주체와 주체라는 상호주관적 관계에 대한 오인된 이해로부터 벗어나고자 하였으며, 더 나아가 교육학에서 간과될 수 없는 주체에 대한 개념을 해체시켜 버린 탈근대성으로부터 다시금 개별적 주체의미를 소환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살펴보면 그동안 ‘알고-있다’는 전제에서 이해되었던 유아는 ‘알수-없 음’의 무한으로 다가오는 존재였다. ‘알수-없음’으로 존재하는 유아는 교사에게 그 자체로 두려 움의 존재인 것이다. 그러한 상황은 교사로 하여금 유아와의 관계 이전에 ‘그저-있음’이라는 비-관계적 관계의미를 도출시켰고, 그때의 교육적 관계는 ‘관계 밖’으로의 관계로서 마주봄과 함께함, ‘앎의 밖’으로의 앎으로서 기다림과 대답함으로 의미화되었다.


The current era is in a period of transition from modern to postmodern. This phenomenon is also valid in an educational setting. Although new educational paradigms are being attempted in response to the changes of the times in current education, it can be seen that the traces of postmodernity and modernity still remain in other aspects of such an attemp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ignificance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children and teachers by referring to the ethics of Levinas. Through this, we attempted to break away from the misunderstanding of the centralized relationship of modernity and the intersubjective relationships between two subjects. Furthermore, we endeavored to recall the meaning of the subject again from the postmodernity that dismantled the concept of subject, which cannot be overlooked in pedagogy. Looking into the results, toddlers who had been understood under the premise of 'known', were actually beings approaching as infinite as 'unknown'. Toddlers who exist as 'unknown' are beings of fear to the teachers per se. Such a situation generated the non-relational meaning of 'just-being there' before speaking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children and teachers. The educational relationship referred to at that time was manifested as encountering and doing together 'outside the relationship’ as well as waiting and answering by knowing ‘outside the knowled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