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보운의통(927-988)은 고려승이다. 그는 구법을 위해 오월에 입국하였다. 스승 의적 문하에서 천태교관을 익히고 귀국하던 도중 명주 군수가 잔류를 요청하였다. 의통은 그곳에 전교원(보운원)을 개설(968)하였으며 많은 제자들을 배출하였다. 그후 명맥만 유지하던 천태종이 크게 흥성하였다. 그 이유는, 의통이 정토교를 적극 수용하였으며, 이를 천태교관으로 해석하여 대중들에게 제시한 때문이다. 의통의 사상과 행법은 송 천태종은 물론 원대와 명까지 이어졌다. 또 의통의 법손들이 고려 의천의 천태종 개립을 도왔으며, 일본 천태종에도 영향을 끼쳤다. 그러나 지금까지 의통의 사상과 행법 자료들이 존재했음에도 연구의 사각지대였다. 이는 한국․중국․일본의 학자들이 연구를 시도하지 않은 때문이다. 다만 한․중 교류사와 관련하여 의통스님의 행적을 조명했을 뿐이다. 따라서 의통의 사상과 행법에 대한 국제적인 위상을 알릴 필요가 충분하다. 본 논문의 내용을 세 가지로 요약한다. 첫째는 종효(1151-1214)의 시각에서 의통을 조명하였다. 그것은 의통에서 종효에 이르기까지 200여 년간 천태종 세력이 크게 발전했기 때문이다. 『보운진조집』의 성립 배경과 함께 『사명존자교행록』, 『낙방문류』 등에 나타난 의통의 영향을 기술하였다. 둘째는 『보운진조집』의 구성과 그 특징이다. 24개 항목을 도식하고 그 연도와 간략 내용을 표시하였다. 이와 함께 의통의 행장이 세상에 알려지기까지의 과정을 도식했으며, 보운원 설립과 중수에 이어 주석한 인물들을 목록으로 구성하였다. 셋째는 『보운진조집』에서 표현한 존숭의 용어 및 문구들을 열거하였으며 의통이 일으킨 산가교학과 염불행법이 역사적 전환점이었음을 기술하였다. 특히 의통이 칭한 ‘향인’의 의미가 유심정토 사상을 가리킨다는 점을 기술하였다. 이 논문에 기반하여 의통의 사상과 행법 그리고 그 영향관계를 본격적으로 연구할 것이다. 의통이 지향하는 사상적 근간은 ‘마음’에 대한 종파적 정의이다. 이는 선종의 직심(진심)과 천태종의 망심에 대한 구별이다. 의통은 범부의 망령된 마음에도 부처를 내재한다고 주장하였다. 본성미타를 실현하기 위한 염불행의 구조를 『관무량수경소기』에서 구현한 것이다. 이 사상은 지례(960-1028)의 『관무량수경소묘종초』에 반영되었다. 그 중요점은 원융과 성구의 입장에서 심․불․중생이 무차별임을 구현한 교판이다.


Master BounUitong (寶雲義通, 927-988) is a Buddhist monk from the Goryeo (高麗) Dynasty who entered the Wuyue (吳越) to research Buddhism. He tried to return home after learning the principles and practices of the Tientai order under his teacher Yiji (義寂), but was requested by the governor of Mingzhou (ningbo, 寧波) to stay instead. Uitong opened (968) the Chuanjiaoyuan (傳敎院) (Bounyuan) temple there and trained his disciples. Since then, the Tientai Order, which had only maintained its reputation, has developed significantly. The reason is that Uitong, in addition to traditional doctrines and practices, has suggested a method suitable for the public living in cities. Uitong's ideas and methods of performance not only continued to the Tientai Order of the Song Dynasty, but to the Yuan (元) and Ming (明) periods as well. In addition, the descendants of Uitong helped in the opening of the Tientai Order of Goryeo and influenced the spread of the Tientai Order in Japan. So far, however, Uitong's ideas and methods have remained obscured by blind spots in the literature. So far, research has only covered his activities, having only studied Uitong in the history of the exchanges between Korea and China. As such, this paper will study Uitong's activities, which have not yet been described or disclosed. The contents of this paper follow the following layout: first, I have illuminated Uitong from the perspective of Zongxiao (宗曉, 1151-1214). The Tientai Order developed throughout a period of about 200 years, from Master Uitong to Zongxiao. I described the background of the establishment of Bounjinjojip (寶雲振祖集) and the effects of Uitong's ideas on Simingzunzhejiaohanglu (四明尊者敎行錄), Lebangwenlei (樂邦文類), etc. The second section concerns the composition of Bounjinjojip and its characteristics. I have charted 24 lists, accompanied by the year, and have briefly marked them. Along with this, I charted the process of Uitong's activities as they became known to the world. After the establishment of a temple, I also listed the people who had lived there. Lastly, I described the terms and phrases of respect as expressed in Bounjinjojip, and write how the Shanjia (山家) study and Chant performance by Uitong had caused a turning point. In particular, Uitong's definition of Hyangin (鄕人) describes the embodiment of the Usimjungto (唯心淨土). The fundamental goal of Uitong's ideas is a sectarian definition of the “mind”. Uitong distinguished the “mind” of the Seon discipline from the “mind” of Buddha-invocations. Uitong stated that ordinary people, like Buddha and the great master, also already embedded Buddha in his mind. He implemented the method of Buddha-invocation structures in Guanmoliangshoujingshuji (觀無量壽經疏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