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핵심역량 함양을 위한 효과적인 지원의 기초적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서 우리나라 학생들의 핵심역량 잠재프로파일을 도출하고 개인 내 존재하는 다양한 핵심역량의 발달적 분포를 파악하였다. 또한, 이러한 발달적 분포의 안정성을 살펴봄으로써 어떠한 학생집단이 특히 우선적이고 집중적인 교육적 지원이 필요한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더 나아가, 핵심역량 잠재프로파일과 결과변인으로서의 학업성취 및 정신건강의 관련성을 분석함으로써 핵심역량 발달의 중요성을 확인하고, 프로파일과 예측변인으로서의 지능신념의 관련성을 분석함으로써 핵심역량의 증진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자기보고식 설문에 대한 응답을 바탕으로 한 한국교육종단연구(KELS 2013) 데이터(n=7,324)를 활용하여(학업성취만 실제 성취 점수) 중학교 2학년과 고등학교 1학년에 걸쳐 6대 핵심역량 잠재프로파일을 도출하였다. 이를 위해 I-States as Objects Analysis를 기반으로 한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실시한 결과, ‘전반적 중위(28%)’, ‘전반적 중상위(51%)’, ‘전반적 상위(21%)’라는 세 개의 잠재프로파일이 도출되었다. 형태빈도분석 결과, 중학교 2학년에서 고등학교 1학년으로 시간이 흘러감에 따라 세 개의 핵심역량 잠재프로파일은 대체로 안정적인 특성을 보여, 학생들이 같은 형태의 프로파일을 유지하는 경우가 다수인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이 높은 고정신념을 지닐수록 핵심역량이 상대적으로 낮은 프로파일에 속할 가능성이 크고 높은 성장신념을 지닐수록 핵심역량이 상대적으로 높은 프로파일에 속할 가능성이 컸다. 또한, 전반적으로 핵심역량이 높은 프로파일을 지닌 학생들일수록 학업성취점수와 정신건강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학생들의 핵심역량 발달 양상 및 발달의 안정성, 그리고 발달과 관련된 변인들을 탐색함으로써 핵심역량의 균형있는 발달이라는 중요한 교육적 과제를 실천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In order to develop methods to promote students’ core competency, this study identified latent profiles of core competencies among South Korean students and examined the developmental patterns of diverse core competencies . In addition, we aimed to identify which groups of students need more immediate core competency support by investigating the stability of these developmental patterns, and to scrutinize the relations of these profiles to academic achievement and mental health as outcome variables. Finally, we analyzed the relations of core competency profiles to implicit theories of intelligence (i.e., mindsets) as predictor variables to suggest means of promoting core competencies. To this end, we utilized Korean Educational Longitudinal Survey (KELS 2013) data (n = 7,324) collected via students’ self-report (except academic achievement). The I-States as Objects Analysis procedure with latent profile analysis identified three different latent profiles based on six core competencies across 8th grade and 10th grade: Overall Middle (28%), Overall Mid-High (51%), and Over all High (21%). Configural frequency analysis found all three profiles to be generally stable from 8th grade to 10th grade, indicating that students usually remained in the same profile over time. Students with higher fixed mindset were more likely to have lower levels of core competencies. Conversely, students with higher growth mindset were more likely to have higher levels of core competencies. In addition, students having profiles characterized by higher core competences tended to show better academic achievement and mental health. These findings suggest ways to promote students’ balanced development of core competencies by identifying the developmental patterns and their stability and exploring the variables associated with the core competency profi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