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는 《詩經日課》 三卷의 분석을 더하여 석정의 《시경》 관련 저술 양상과 《시경》 인식의 특징을 개관하는 데 주요 목적을 두었다. 구체 분석에 있어서는 주석자의 해석 맥락에 주의를 기울이는 석정의 접근에 특히 주목하였다. 해석학적 각도에서 볼 때, 석정 《시경》론의 특징을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석정은 《시경》학의 맥락에서 해석의 다양성을 인정하는 가운데 《시경》 해석의 계승과 변천 과정에서의 맥락에 관심을 기울였다. 이 과정에서 석정은 주자 《시경》 해석의 가치를 ‘獨創’에서보다는 ‘折衷’에서 찾고자 하였다. 이러한 관점은 주자 《시경》학을 漢代 《시경》학과 대립시키며 그 독창적인 면을 부각하고 다른 면을 배격하는 학문 태도와 선명한 대조를 이룬다. 이는 곧 진정한 獨創의 원동력이 전통과 기존설의 정밀한 비교, 분석을 통한 융합적 ‘折衷’에 기인한다고 보는 것으로, 석정이 근대 전환기에도 왜 여전히 전통 학문과 시각을 중시하였는가를 이해하는 데 유효하게 참고될 수 있다. 둘째, 석정은 《시경》 해석의 타당성 여부와 내원을 세밀하게 추적하려는 면모를 보였는데, 이는 특정 주석가의 해석을 맹신하거나 배척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셋째, 석정은 해석자(주석자)의 인식 맥락에 초점을 두어 《시경》 해석의 同異를 변별하였다. 주석의 是非, 正誤에 대한 판단보다는, 주석자가 왜 이렇게 주석하였는지에 대한 의식의 흐름에 주목하였다는 점에서, 한국 《시경》 해석학사에서 중요한 의의를 지닌다고 생각된다.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aspects of Sŏkchŏng’s writings related to the Book of Song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perception of the Book of Songs by analyzing of the three volumes of Shigyŏngilgwa(詩經日課) which have not been made public yet. This paper pays special attention to the fact that the commentators’ intention has a very important weight in Sŏkchŏng’s commentary on the Book of Songs, and the related interpretation has a unique approach angle. From a hermeneutic angle, the significance of Sŏkchŏng’s perception of the Book of So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while recognizing the diversity of interpretations of the Book of Songs in its historical context, Sŏkchŏng paid attention to grasping the grounds and origins of the succession and transition process of the Book of Songs. In this process, Sŏkchŏng wanted to find the value of Zhuxi’s interpretation of the Book of Songs in its ‘eclectic character’ rather than in its ‘originality’. This view is in stark contrast to the academic attitude that emphasizes its original side and rejects its opposite side. This is attributed to the compromise through precise comparison and analysis of tradition and existing theories, which can be effectively referenced in understanding the reason why Sŏkchŏng still valued traditional learning and perspective even during the modern transition period. Second, Sŏkchŏng’s approach to trace the validity and origin of the interpretation of the Book of Songs is significant in that he pursued an academic approach that did not blind or reject the interpretation of specific commentators. Third, Sŏkchŏng differentiated the interpretation of the Book of Songs by focusing on the context of the interpreter(or commentator)’s perception. It is considered to be of great significance in the history of interpretation of the Book of Songs in Korea in that he showed interest in capturing the flow of the interpreter’s consciousness about the way he commented, rather than in judging whether the commentator’s contents were right or w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