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국내 아이돌 팬덤의 팬픽 문화 변화 양상과 한국의 사회·문화적 맥락을 함께 살펴보고자 했다. 용어의 전환 및 변화는 시대적 맥락과 관련이 있는 것이라 보고 팬픽 문화가 RPS(Real Person Slash) 문화로 자리 잡으면서 관찰할 수 있는 팬덤 문화의 변화를 쫓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젠킨스(Jenkins)를 비롯한 서구의 여러 학자들은 팬픽을 팬덤의 능동성을 보여줄 수 있는 실천으로 규정하였고 팬들은 ‘텍스트 밀렵꾼(Textual Poacher)’으로서 대중문화의 여백을 채우고자 노력하는 존재였다. 한국에서는 일본의 야오이 및 BL 문화의 영향으로 팬픽 문화가 성장했고 최근에는 영·미 팬덤 문화와도 복합적으로 상호작용하며 한국의 RPS 문화를 구축했다고 볼 수 있다. 한국의 팬덤 창작 문화는 단순히 타국가의 문화를 수용만 한 것이 아니라 문화의 혼종성을 드러낼 수 있는 영역으로 확장되었다. 영·미권에서 동성애 팬픽만을 지칭했던 RPS 용어가 한국에서는 이성애 등 팬덤 문화의 다양한 관계성을 표현할 수 있는 단어로 자리 잡은 것은 이를 잘 보여준다. 미디어의 발달이라는 초국가적 흐름과 한국 내에서의 페미니즘 리부트, 대중문화 내 호모소셜 코드 유행 등 복합적인 사회·문화적 맥락이 팬덤 참여 문화에 영향력을 발휘한다는 것을 연구로 밝히며 팬덤 연구의 의의를 찾고자 한다.


This study discusses the changes in the Fanatic culture of Korean idol fandom and the social and cultural context in Korea. Considering that the term change which is related to the context of the times, the goal is to observe changes in fandom culture from the fanfic culture to RPS(Real Person Slash) culture. Jenkins and other Western scholars define fan fiction as an active fandom practice, and fans are trying to fill the gaps in popular culture as ‘Textual Poachers’. In Korea, the fanfic culture has grown due to the influence of Japan’s Yaoi and BL culture, and recently RPS culture in Korea has been interacting with the English-American series fandom culture. Fandom creation culture in Korea has not only embraced the culture of other countries, but also expanded into an area where cultural hybridity can be revealed. The fact that the RPS term, which only referred to homosexual fanfic in English and the U.S., has been changed in Korea as a word that can express various relationships in Fandom culture such as heterosexuality. This study seeks to find the meaning of fandom research by showing that complex social and cultural contexts such as transnational trends of media development, feminist reboots and the prevalence of homosocial codes of popular culture in Korea influence Fandom Participatory Cul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