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2020. 12. 31.까지 수행된 국내의 조직학습 학술지게재논문 160편, 학습조직 학술지게재 논문 159편의 연구동향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조직학습과 학습조직은 개념적 혼선에도 불구하고 연구실적은 비슷하였으며, 조직학습은 경영학 중심으로 연구된 반면, 학습조직은 경영학, HRD, 교육학의 학술지 중심으로 연구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국내 조직학습과 학습조직 모두 민간기업 중심으로 연구되었으며, 세부적으로 민간기업 중 조직학습은 대기업을 대상으로, 학습조직은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연구되어 온 경향이 있었다. 조직학습과 학습조직의 연구 방법은 양적연구 중심으로 진행되었으며, 인과관계를 검증하기 위한 분석 방법 위주로 사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편, 주제어는 조직학습은 성과와 조직문화 등이 중심 단어였으며 학습조직은 리더십과 직무만족 등이 중심주제어로 확인되었다. 시사점으로는 첫째, 고유한 동양의 사고와 문화 측면에 좀 더 부합되는 독자적 이론 틀의 제공으로 확대되어 나갈 필요성 있으며, 둘째, 조직학습과 학습조직의 현상을 일반화하고 좀 더 명확한 이론적 모형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인과관계 중심의 현상 연구에 대한 메타분석과 종단적 이론 조망을 통해 국내 조직학습과 학습조직에 대한 이론적 틀을 재구성하는 연구의 필요성이 제안된다. 셋째, 연구대상을 하위 조직 단위의 중심으로 대상을 특정할 필요가 있다. 넷째, 조직학습과 학습조직의 인적자원관리와 연계한 연구가 필요하다. 다섯째, 다양한 성과지표와 연계하여 실질적인 학습을 통한 성과도출 실증사례를 지속하여 연구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여섯째, 조직학습과 학습조직의 경우 국내 실정에 맞는 이론적 모형의 통합구성 필요성이 제기된다.


This study analyzed the research trends of 160 papers published in organizational learning academic journals and 159 papers published in learning organization academic journals conducted until 12.31.2020.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organizational learning and learning organization had similar research performance despite conceptual confusion. Organizational learning has been studied mainly with business administration, whereas learning organization has been studied mainly with journals of business administration, HRD, and education. Implications are: First, it is necessary to expand to provide an independent theoretical framework that is more consistent with the unique oriental thinking and culture. Second, it is necessary to generalize the phenomenon of organizational learning and learning organization and to construct a more clear theoretical model. To this end, the need for a study that reconstructs the theoretical framework for domestic organizational learning and learning organization is suggested through meta-analysis and longitudinal theoretical perspectives on causal relations-centered phenomenon research. Third, it is necessary to specify the research subject as the center of the sub-organizational unit. Fourth, follow-up studies in connection with organizational learning and human resource management of learning organizations are needed. Fifth, there is a need to continuously study empirical cases of performance achievement through practical learning in connection with various performance indicators. Sixth, in the case of organizational learning and learning organization, the necessity of integrating a theoretical model suitable for the domestic situation is rai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