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개인 수준 요인(성별, 연령, 고용, 결혼상태)과 지역 수준 영향요인(경제적, 인구환경적, 사회해체요인)이 자살의 원인과 관계가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2013년부터 2017년까지의 국내 자살사망자 전수조사 1차 공개 자료에 포함된 54,543건이다. 다층분석을 위해 54,543건은 228개 지역 시군구 자료와 연결하여 분석에 활용하였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R 패키지를 활용한 다항 로지스틱 위계적 선형 모형(HLM)을 활용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자살사망자가 고용상태일 때, 소속 지자체의 GRDP와 도시화율이 높을수록 경제문제로 인한 자살의 승산비가 정신건강문제로 인한 자살보다 높았다. (2) 자살사망자가 비고용상태일 때, 소속 지자체의 빈곤률과 인구밀도가 높을수록 정신건강문제로 인한 자살의 승산비가 경제문제 대비 높았다. (3) 자살사망자가 가족해체를 경험한 경우, 소속 지자체의 조이혼률이 높은 경우에는 정신건강문제보다 경제문제로 인한 자살의 승산비가 높았다. 본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개인 및 지역 수준의 요인과 자살 주원인에 대한 정책적 제안을 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whether individual-level factors (i.e., gender, age, employment, marital status) and regional-level factors (i.e., economic, demographic, and social dissolution factors) are related to suicide.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54,543 cases included in the first public data of the total survey of suicide deaths in Korea from 2013 to 2017. For multi-level analysis, 54,543 individual data were connected with the data of 228 local governments. To address research questions, a multi-nominal logistic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were done using the R package. Key findings are as follows. (1) When suicide deaths were employed, the higher the GRDP and urbanization rate of the local government, the higher the odds ratio of suicide due to economic problems than the one due to mental health problems. (2) When suicide deaths were unemployed, the higher the poverty rate and population density of the local government, the higher the odds ratio of suicide due to mental health problems compared to economic problems. (3) When suicide deaths experienced family dissolution, and when the joint divorce rate of the local government was higher, the odds ratio of suicide due to economic problems was higher than that of mental health problems. Based on the results, Implications for policy to reduce both individual and regional level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suicide deaths we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