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2000 ∼ 2017년 중 통계청 광업제조업조사의 사업체 자료를 이용하여 제조업의 수출과 총요소생산성 간 관계를 실증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수출과 생산성이 양의 관계를 보이는 가운데, 수출 감소시 생산성 하락 효과가 수출 증가시 생산성 증대 효과보다 더 크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함께 본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에서 살펴본 규모의 경제 및 학습효과 경로 외에 수출이 감소하는 경우에 생산성이 둔화될 수 있는 경로로서 요소투입의 비가역성에 주목하였다. 산출량이 감소할 때 생산에 투입되는 요소가 유연하게 조정되지 않아 요소투입의 비탄력성이 나타나는 업종에서는 수출 감소시 생산성이 둔화되는 정도가 더 크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2010년대에 나타난 수출 부진과 생산성 둔화가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실증적으로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The Korean economy experienced a slowdown in both productivity growth and exports in the 2010s. Here we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changes in exports and in the growth of total factor productivity (TFP). Our empirical analysis of data from the Mine and Manufacturing Survey (2000 ∼ 2017) shows that there is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exports and productivity. We find that the positive relationship was stronger during periods in which exports decreased. We find that while the decrease in exports may have slowed or reduced the growth in productivity, the increase in exports did not necessarily increase productivity since 2000. We focus on the irreversibility of inputs as a possible explanation of the asymmetric relationship between exports and productivity growth. Our results show that in the input-inelastic sectors in which inputs are not flexibly adjusted, productivity declined further as export growth decrea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