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2000년대에 들어와 정부회계와 재정통계에 대한 개편 요구가 거세게 몰아쳤는데, 이들은 크게 네 가지 관점으로 구분할 수 있다. 지자체의 허술한 세금관리로 나타난 부정과 오류를 방지하기 위한 복식부기 도입, 재정건전성 제고를 위한 재정위험의 체계적 관리, 개별 재정사업의 성과에 대응할 수 있는 원가계산, 그리고 재정통계 범위를 국제기준에 부합하도록 하기 위한 제도단위 개편 등과 같다. 이들 요구를 반영하여 정부는 「국가결산보고서」와 「한국통합재정수지」를 전면적으로 개편하였다. 본 연구는 정부의 지금까지의 노력들이 부정과 오류의 방지에는 상당한 성과를 이룩하였음을 평가하면서, 정부회계·재정통계에 대한 향후의 정책과제들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첫째, 정부부문의 각종 거래들의 분류를 국제기준에 부합하도록 전면 개편해야 한다. 둘째, IMF 재정통계지침에 의한 재정보고서를 산출하고 공공부문 전체의 결합재무제표를 작성하여 우리나라에 고유한 재정위험들이 부각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셋째, 거래들을 다양한 차원으로 교차분류하고 활동기준원가와 활동기준예산이 적용될 수 있는 기반을 조성해야 한다.


In the 2000s, demands for reform of government accounting and finance statistics in Korea were raised from three main perspectives. These are as follows: accrualism in government accounting, brought about by New Public Management government reforms; double-entry bookkeeping to prevent corruption and errors caused by poor tax management among local governments, and; adoption of institutional units to ensure government finance statistics conform to international standards. Reflecting these demands, the government completely reorganized the financial statements and the overall balance. This study attempts to propose future policy tasks for the production system of government finance statistics, evaluating the government's efforts to date. First, the classification of various transactions in the government sector must be completely reorganized to meet international standards. Second, it is necessary to prepare consolidated financial statements for the entire public sector so that Korea’s inherent financial risks can be highlighted. Thir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basis for applying the activity-based cost and the activity-based budget so that costs can be estim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