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RCEP 국가들과 旣체결된 양자협정과 비교하여 RCEP의 원산지규정의 특징을 분석하고, 최종재 및 중간재의 국내 부가가치수출 및 해외 부가가치수입 현황을 도출하여 RCEP 국가 간 GVC 네트워크를 활용한 부가가치기준 적용의 용이성을 설명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결과를 도출하기 위하여, 부가가치수출·입 분해기법을 사용하여 한국의 국내 부가가치수출 및 해외 부가가치수입 현황을 도출하여RCEP 국가 간 GVC 네트워크 현황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가장 최근의 OECD ICIO(Inter-Country Input-Output Table) 데이터를 사용하고, 특히 중간재 및 최종재를 구분하여 한국의 국내 부가가치수출과해외 부가가치수입의 산업별 현황 및 GVC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RCEP의 활용방안을 모색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rules of origin of RCEP (Regional Comprehensive Economic Partnership), compared to bilateral agreements concluded with RCEP countries, and shows ease of application of regional value contents using GVC (Global Value Chain) network between RCEP countries based on the status of domestic value-added exports and overseas value-added imports of final and intermediate goods. In order to show these results, this study analyzed GVC networks between RCEP countries by deriving the status of Korea's domestic value-added exports and overseas value-added imports through the value-added export·import decomposition. This study contributes to related literature in that it seeks to utilize the RCEP through the analysis of the GVC network and the current status of Korea's domestic value added exports and overseas value added imports by using the most recent OECD ICIO (Inter-Country Input-Output Table) data, especially by classifying intermediate goods and final goo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