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목적 2022 개정교육과정 추진 방향의 하나로 ‘지역 분권화⋅자율화’가 제시된 상황에서 제6차 교육과정에서부터 2015 개정 교육과정까지의 한국 초등 과학과 교육과정 지역화의 동향을 시⋅도 교육과정 편성⋅운영 지침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통하여과학과 교육과정의 맞춤화⋅다양화를 분석하여 과학 교과의 지평 확장 가능성을 모색하고, 교육자치에 대한 요구가 높은 현시점에서 미래형 교육과정 준비를 위한 시사점을 찾고자 하였다. 방법 전국 17개 시⋅도교육청의 초등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 지침 (‘지침’) 148건을 수집하여, 그 가운데 과학과 교육 중점에관한 갱신이 이루어진 97건을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분석 방법으로서는 ‘지침’ 내용의 시간적 변화와 공간적 다양성 측면에서의분석을 병행하였다. 시간적 측면에서는 국가 교육과정 시기별 ‘지침’의 과학과 교육 중점을 분석하여 각 교육과정 시기별 특징을 기술하였고, 공간적 측면에서는 지역별 ‘지침’에서 나타나는 특색 사례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연구자 3인이 지역별 특성을 코딩하고, 합의에 의한 결과를 도출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시간적 측면 분석은 초등 과학과 교육과정 지역화가 시간의 큰 흐름에서 그 양과 질의 측면에서 점차 내실화되는방향으로 나아가고 있음을 보여주며, 공간적 측면에서는 지역별 자연 환경 및 과학관 등의 비형식 과학교육 요소가 초등 과학 교육과정 지역화에 핵심적 역할을 한다는 점을 보여준다. 또한 시간적 측면과 공간적 측면을 아울러 전반적으로 국가 수준 교육과정 문서의영향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는가 하면, 특정 지역 교육청에서 나타나는 과학과 교육 중점의 내용이 타 지역 교육청의 문서로 확산되는경향 또한 발견할 수 있었다. 결론 시⋅도 교육과정에 중심화와 탈중심화라는 상반된 영향력이 동시에 작용하게 될 경우에 시⋅도 단위 ‘지침’ 구성의 어려움이예상되므로 2022 개정 교육과정 고시를 대비하는 현 상황에서 향후 교육과정 지역화를 위한 정책은 ‘지침’ 구성의 자율성을 일관적으로 보장하여야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과학이라는 개별 교과 교육과정의 지역화에 초점을 맞추었다는 점, 그리고 교육과정 지역화에 대한 통시적인 관점을 취하였다는 점 등에서 고유한 독창성과 의의를 지닌다.


Objectives The 2022 Revised National Curriculum (RNC) is known to be oriented to ‘regional decentralization and autonomy’. This study analyzed the trend of localization of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from the 6th National Curriculum (NC) to the 2015 RNC based on the MPOE(Metropolitan⋅Province Office of Education) guidelines of curriculum arrangement and implementation. We explored the possibilities of broadening science subject education through optimization and diversification, and elicited implications for the future-oriented curriculum. Methods We collected 148 guidelines for elementary education from 17 MPOE, and selected 97 of them as data to be analyzed, which spanned from the 6th NC to the 2015 RNC. We delineated the temporal pattern and the spatial diversity found in the guidelines. We paralleled temporal analysis and spatial analysis. For the temporal aspect, we describ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focus’ of science education in guidelines according to the NC period. And for the spatial aspect, we specified differences between regions and provided distinctive cases. Total of 3 researchers coded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made an agreement. Results The temporal aspect analysis of this study shows that elementary science and curriculum localization are moving toward the maturity in terms of quantity and quality. And in the spatial aspect, it shows that informal science education resources such as natural environment and science museums play a key role in localization of science curriculum. While NC documents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MPOE guidelines in general, we could also find that some content in the guideline of a specific region had spread to others. Conclusions Possible confliction between the influences of centralization and decentralization would make constructing the MPOE guidelines difficult. Therefore, future curriculum localization policies need to assure the autonomy of MPOEs consistently. This study has its uniqueness focusing on the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and taking a diachronic viewpoi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