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 연구 주제: 청소년의 자아탄력성, 부모양육행동, 또래애착, 시험불안의 관계를 규명하고 자아탄력성이 시험불안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부모양육행동과 또래애착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 연구 배경: 청소년기 학생들이 건강하게 성장하고 삶에 잘 적응해 가도록 시험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인을 분석하였다. · 선행연구와의 차이점: 청소년 시험불안 관련 개인 심리 변인(자아탄력성)과 지지 자원(부모양육행동, 또래애착)의 관계를 규명하였다. · 연구방법: K도 거주 청소년 477명의 응답 결과를 토대로 SPSS와 AMOS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 연구결과: 첫째, 청소년의 자아탄력성은 부모양육행동과 또래애착에 정적 영향을 미치며, 부모양육행동은 또래애착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양육행동은 시험불안에 부적 영향을 미치며, 또래애착은 시험불안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의 자아탄력성과 시험불안의 관계에서 부모양육행동, 또래애착이 각각 매개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 공헌점 및 기대효과: 시험불안을 낮추기 위해서는 긍정적 부모양육행동이 요구되며, 청소년기 자아탄력성을 강화하여 이에 따른 적절한 또래애착을 지닐 수 있도록 가정, 학교, 지역사회가 지원해야 할 것이다.


·Research topics: The relationship between ego-resilience, parenting behaviors, peer attachment, and test anxiety was identified. ·Research background: It analyzed the factors that affect test anxiety so that youths grow healthy and adapt well to their lives. ·Differences from prior research: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variables related to test anxiety was identified. ·Research method: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analyzed. ·Research results: Ego-resilience has a static effect on parenting behavior and peer attachment, and parenting behavior has an adverse effect on peer attachment. Parenting behavior have an adverse effect on test anxiety, and peer attachment has a static effect on test anxiety. And parenting behavior and peer attachment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ego-resilience and test anxiety respectively. ·Contribution points and expected effects: Positive parenting behavior is required to control test anxiety, and ego-resilience should be strengthened to support appropriate peer attac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