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는 駱村 朴忠元(1507~1581)의 문학 세계를 고찰한 글이다. 박충원은 16세기문단을 대표하는 인물 중 한 명임에도 불구하고, 자료의 부족과 연구사적 시각에 가로막혀 그간 충분한 조명을 받지 못하였다. 그러나 그는 奇遵⋅趙士秀⋅李滉⋅蘇世讓⋅ 金安老 같은 동시기 유력 인사들과 긴밀한 학적 관계를 맺었으며, 홍문관⋅사가독서를비롯한 주요 문한 경력을 두루 거쳐 명종대 대제학에까지 오르는 등 당대의 유력 문인으로서 확고한 위상을 점유하고 있었다. 박충원의 문한 활동과 관련하여 주목해 볼 만한 지점은 크게 다음과 같은 세 대목으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문장에 대한 강한 신뢰와 의지를 바탕으로 당대의 주요 정책 과제였던 文章華國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華國의 실천자’로서의 모습을 보였다는점이다. 둘째, 15세기 말~16세기 초에 활동한 선배 사류들에 대한 여러 전기류 저작을지음으로써, 그들의 유자적 풍모와 행적을 글로 정리하여 후대에 전하는 ‘儒脈의 전달자’로서 역할하였다는 점이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영월 군수 시절 지은 노산군에 대한제문이 후대의 단종 복위 및 사육신 기억 작업과 긴밀하게 연동되면서, ‘廢君의 추모자’ 로서도 후대 문인들에게 강렬히 기억되었다는 점이다. 이처럼 박충원은 ‘文運 정비와 儒風 심화’라는 단어로 요약되는 16세기의 주요 문인으로서, 당대 각 영역에서 활발한 문학 활동을 전개하였다. 그는 뛰어난 文才를 바탕으로 공적 영역에서 활약하며 宣祖代 문운 융성의 기반을 마련하는데 중요한 가교 역할을 수행하였으며, 한편으로는 문학 작품을 통해 儒風의 振作에 크게 기여하는 모습을보이기도 하였다. 詞章과 思惟의 영역을 넘나들며 형성된 박충원 문학 세계의 다층적인면모는, 그 자체로 16세기 문단이 지닌 복합적이고도 입체적인 특성을 잘 보여준다. 본고의 검토를 바탕으로, 16세기 문인에 대한 연구적 관심의 증대는 물론 이 시기 문학 지형에 대한 보다 다각적이고 심층적인 논의가 이루어질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is thesis examines the literary activities of Nakchon (駱村) Park Chung-won (朴忠元). Although Park Chung-won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figures of the 16th century literature, he has not received sufficient attention because of the lack of data and the historical perspective. However, he had a close academic relationship with influential figures of the same period such as Ki Joon (奇遵), Jo Sa-su (趙士秀), Lee Hwang (李滉), So Se-yang (蘇世讓), and Kim Ahn-ro (金安老). And he was appointed to major literary positions and also appointed to Daejehak (大提學) in Myeonjong period. In this point, he is worthy of study as one of the influential literary figures of his time. Park Chung-won’s literacy activities can be summarized in the following three points. First, based on strong trust and will in the literature, he showed his aspect as a ‘performer of Munjanghwaguk (文章華國)’, the main policy task of the time. Second, by composing several biographical works on the senior scholars who were active in the late 15th and early 16th centuries, they played a role as a ‘communicator of Confucian scholar’. Lastly, as 「Je Noreung Mun (祭魯陵文)」, written during the governorship of Yeongwol (寧越), was closely linked with the memory and remembrance of Danjong (端宗), he was strongly remembered by later writers as a ‘mourner of the dethroned lord’. Park Chung-won, as a major literary figure of the 16th century, summarized in the words ‘prosperity of literature and deepening of Confucianism’, conducted literary activities in various fields. Based on his outstanding literary skills, he was active in the public realm and played an important role in laying the foundation for the prosperity of literature in Seonjo (宣祖) period. And, he also showed a significant contribution to the amplification of Confucianism through his literature. The multi-layered aspect of Park Chung-won’s literary world, formed by crossing the realms of literature and thought, shows the complex and three-dimensional characteristics of 16th century literature. Based on the review of this paper, It is expected that a more multifaceted and in-depth discussion on the writers and their literature of the 16th centu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