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지방사립대학교의 대학 교양영어 교과과정에 대해 교수와 학습자 집단 간의 인식의 차이와 개선할 점을 고찰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교양영어 수업을 수강하고 있는 초급 집단, 중급 집단, 이들을 가르치고 있는 원어민 교수들을 대상으로 교양영어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와 효용성을 묻는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먼저 교수자와 학습자 간에 교양영어 수업의 목표에 관한 설문 결과는 집단 간 차이가 나지 않았으며 교양영어의 목표가 학습자들의 영어 의사소통 능력 향상에 초점을 두어야 한다고 인식하였다. 교과과정 운영에 있어 교수 집단이 학습자 집단에 비해 만족도가 높았다. 강의 규모와 배치 결과에 만족도는 교수 집단이 학습자 집단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았으며, 학생 집단에서는 강의 규모에 대해서는 비교적 만족하였지만 배치 결과에 대해서는 초급 집단이 중급 집단보다 만족도 비율이 조금 높았다. 교양 영어 수업이 학습자들에게 어떤 영역에서 도움이 되었는지를 물어본 결과 교수자와 학생 집단 모두 교양영어 수업이 듣기와 말하기 능력을 향상하는데 도움을 가장 많이 받았고 쓰기 영역에는 다른 영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도움이 덜 된 것으로 인식하였다. 온라인 과제의 만족도에서는 교수 집단은 학습자들이 영어실력 향상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인식하였지만 학습자 집단의 만족도는 그렇지 않아 견해의 차이가 있었다. 마지막으로 교과과정에 개선사항으로 학습자들은 다양한 수업활동(말하기, 문법, 단어 등)에 대한 요구와 수업시간을 일주일에 두 번 나누어 진행하는 것과 강의실 환경개선에 내용들이 있었으며 추후 견해의 차이를 좁히는 방안을 강구해야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differently the students and professors in a local university perceived with the modified general English curriculum, and how much they were satisfied with it. To do this, a questionnaire was conducted to ask their satisfaction and effectiveness of the curriculum. First, it was reported that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in the results of the survey on the goals of the general English. The professors and the students perceived that purpose of general English should focus on improving learners' English communication skills. In terms of satisfaction with the program and evaluation system, the professor group was generally satisfied with the program content and evaluation method, and an average of 50% from the student groups were satisfied with the general English program. The professor group showed their satisfaction level with the class size and with placement test results was relatively low, whereas the student groups were relatively satisfied with the class size and their current placement. The survey results also showed that the professors and the students perceived that the general English classes helped improving students’ listening and speaking skills, but relatively less helpful in writing skills. As for the satisfaction levels with online assignments, the professor group recognized that it could be helpful for learners to improve their English skills, but the student groups perceived it negatively. Several improvements were suggested by the students: various class activities focusing on speaking, grammar and vocabulary, dividing class time twice a week, and improving the classroom environment. Theoretical and pedagogical implications a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