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최근 대학생들이 학업적응을 하지 못해 중도탈락이 늘어나고 있는 시점에서 학업적응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에 대한 대학의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학업적응과 관련된 변인으로 성취가치, 자기효능감 및 그릿을 선정하여 변인 간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서울 소재의 S 대학교와 대전 소재의 K 대학교 학생 205명이며 수집된 자료는 구조방정식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성취가치는 그릿과 학업적응에 정적으로 유의하게 영향을 미쳤다. 둘째, 자기효능감은 그릿과 학업적응에 정적으로 유의하게 영향을 미쳤다. 셋째, 그릿은 학업적응에 정적으로 유의하게 영향을 미쳤다. 넷째, 그릿은 성취가치와 학업적응, 자기효능감과 학업적응 사이를 매개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대학생의 학업적응을 높이기 위해서 성취가치, 자기효능감 및 그릿을 향상시켜야 함을 시사한다.


In recent years, the interest in improving academic adjustment has been growing as the dropout rates among the undergraduate students has increased due to hardship on academic adjustment at universities. Based on literature reviews, achievement value, self-efficacy and grit were selected as variables related to academic adjustment and were investigated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the variabl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05 students from S University in Seoul and K University in Daejeo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chievement value had a positive effect on grit and academic adjustment. Second, self-efficacy had a positive effect on grit and academic adjustment. Third, grit had a positive effect on academic adjustment. Fourth, grit mediates between achievement value and academic adjustment as well as self-efficacy and academic adjustment. These findings suggest that achievement value, self-efficacy and grit should be improved in order to improve the academic adjustment of college stud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