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복지기술을 이용한 공공사회서비스의 일환인 독거노인대상 응급안전안심서비스 사례를 중심으로 현장 실무자 관점에서 주요 쟁점과 방향성을 파악하는 것을 주요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개별인터뷰와 초점집단인터뷰를 포함해서총 7명의 현장 관리자 및 실무자를 대상으로 질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크게 4개 주요 범주, 9개의 하위 범주를 포함하여 총 35개의 개념이 도출되었다. 특히, 장기간 사업표류, 댁내장비의 높은 오작동율, 업무성격과 사회복지전문직과의 관계, 사업간 통합 방향 등 4개 주요 범주를 통해 응급안전알림서비스의 주요 현안을 확인할 수있었고, 사업의 책임성과 기기오작동에 대한 환류, 서비스 간 통합 등의 핵심문제와 쟁점들을 살펴볼 수 있었다. 응급안전안심서비스가 복지기술 기반의 새로운 사회서비스로서 공공성 하에 보다 효율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기 위해서는 정부 정책추진 의지와 책임성, 댁내 장비 개선의 혁신성, 사회통합 이후의 응급관리요원의 존재, 지방관리체제 vs. 중앙관리체제 등에 대한 방향성이 수립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The current study aims to identify major issues and direction for Korean social services provided by the public sector based on the perspective of practitioners, focusing on Emergency Safety Relax Service for older adults living alone. A total of seven practitioners participated in either focus group or individual interviews. As an analytical method, the grounded theory was utilized to reflect practical experiences and perspectives for practitioners. Findings indicated that a total of 35 concepts, including four major themes and 9 sub-themes were derived. Specifically, core problems and issues were identified through four themes including the long-term business drift, high rate of mal-function in the home equipment, the relationships between business characteristics and social welfare professionals, and the integration direction among businesses. For delivering social services efficiently in public, willingness to promote government policy and responsibility, innovation in improving home equipment, the existence of emergency management personnel, and the direction of local management system vs. central management system should be establish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