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초상화찬 텍스트에 대하여 한국한문학·미술사 등 다양한 한국학 분야에서 활용도가 증진되고, 텍스트-이미지가 결합된 형태의 연구대상에 대한 관심사가 공유·발전되어 나가는 현 추세에서 본고는 초상화찬을 대학 강의 현장에 활용하는 방안과 그 가능성을 탐색하는 역할을 담당하고자 한다. 초상화찬의 강의자료적 가치로서는 한문운문 작품의 교육적 활용도 증대, 동아시아 한문학에서 공유되는 장르의 재조명을 통한 강의현장의 문화적 다양성 제고, 동양 자전문학 텍스트·관련 이미지와 학습자의 자기표현 글쓰기를 연동시킬 가능성 등을 제시할 수 있다. 또한 본고에서는 전공 강의와 교양 강의에서 사용할 수 있는 토론식 수업모형의 사례를 제시함으로써, 초상화찬이 전공 지식과 연구의 감각 배양에 적절한 자료일 뿐 아니라, 고전의 현대적 이해와 자기표현 글쓰기 방면에서의 영감 얻기에도 활용 가능한 텍스트임을 보이고자 하였다.


This paper explores the possibility to improve the utilization of portrait panegyrics in various fields of Korean literature and art history to share and develop academic interest in the combination between text and image and how it can be incorporated into various university lectures. The values of portrait panegyrics as lecture materials are to increase the educational use of the traditional verse in Chinese characters. In addition, this may improve the cultural diversity of lectures through the revival of east Asian Chinese literature and link the self-expression of students who study literature at university. Finally, this paper presents examples of discussion-type teaching models that can be used in major and liberal arts lectures, which can not only cultivate professional knowledge and research senses, but in addition obtain a modern understanding of Korean classical literature and the skill of self- expres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