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국문보감』은 융희 4년(1910년) 2월 15일 인쇄하여, 2월 25일 수문서관(修 文書舘)에서 발행했다. 박영진(朴永鎭)이 편집하고, 이윤종(李胤鍾)이 교열을담당했고, 이능구(李能九)가 서문을 쓴 도서이다. 『국문보감』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 결과가 제출되지 않고 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필요성을 찾을 수있다. 선행 연구에서 『국문보감』과 박영진을 짧게라도 언급한 경우는 『요지경』 관련 연구에서 찾아볼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편집자 박영진이 쓴 「국문의 기원」과 『대한매일신보』, 『해조신문』 등에 발표한 가사 등을 분석하여 그의 국문 인식을 검토하였다. 서문을 쓴 이능구는 국문(國文)의 중요성에 대해 언급하면서, 한문을 숭상하는 태도를 비판하고 있다. 1890년대 이후 신문, 잡지에 실린 국문론의 맥락에서 「국문의 기원」 및 「국문보감 서문」을 살펴보았고, 「국문간독」과‘편지투’의 한글 표기를 검토하기 위해 『언문간독』을 참조하였다. 『국문보감』의 집필 목표는 생활에 요긴한 다양한 정보들을 취사선택하여 제시하는 데 있었다. 편집자 박영진은 한문을 국문으로 번역하는 과정을거쳤음을 분명히 하고 있다. 국문의 장점과 효용성에 대한 논의를 국한문혼용체를 활용하여 저술한 당대의 여러 사례와 달리 『국문보감』은 일관되게국문으로 표기한다는 원칙을 고수하였다. 이 책을 ‘국문으로 지은 보배’라고 비유한 데서 확인할 수 있듯 국문이야말로 보배라는 인식을 드러내고 있을 뿐 아니라, 그 인식을 실현하는 방법으로 국문을 선택한 것이다. 국문 글쓰기의 본보기를 만들고자 했던 편집자의 의도가 표기 방식을 통해 드러났다는 점을 이 책의 의의라 할 수 있을 것이다.


Gukmunbogam was printed on February 15, in the 4th year of Yoonghee (1910), and was published on February 25 by Sumunseogwan (修文書舘). It is a book edited by Young-jin Park, proofread by Yun-jong Lee, and prologized by Neung-gu Lee. The necessity of studies on Gukmunbogam can be found in the fact that no result of any full-fledged study on Gukmunbogam has been submitted. Among previous studies, cases where Gukmunbogam and Young-jin Park were mentioned even briefly can be found in studies regarding Yojikyung. In this paper, first, the nature of this book will be investigated in the context of ‘Korean literature’ theories. As can be seen in ‘The Preface of Gukmunbogam’ and ‘The Origin of Korean Language’, Neung-gu Lee, who wrote the preface, and editor Young-jin Park are criticizing the attitude to revere ‘Chinese characters’ while mentioning the importance of Korean literature. The characteristics of this book were examined by comparing and contrasting this book with articles related to “Korean literature” published in newspapers and magazines since the 1890s. Thereafter, in relation to the composition of this book, this book was compared with books that fall under ‘exemplars.’ The purpose of writing this book was to select a variety of information essentially important for life. In addition, this book makes it clear that it has gone through the process of “translating” the information. Through such a review process, the nature and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literature’ theory of Gukmunbogam, and the nature of this book as a book that falls under ‘exemplars’ were identified and what status this book shows between the ‘Korean literature’ theory in 1910 and books that fall under ‘exemplars’ written thereafter could be determin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