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대학생의 사회적 지지가 강점인식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수용의 매개 효과와 내적 귀인성향의 조절 효과를 살펴보았다. 강원도 내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 327명의 자료를 SPSS Macro 3.5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 지지, 자기수용, 내적 귀인성향은 모두 강점인식과 유의한 정적상관관계가 있었다. 둘째, 사회적 지지와 강점인식의 관계에서 자기수용의 매개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SPSS PROCESS Macro 모델 4를 활용한 결과, 사회적 지지와 강점인식의 관계에서 자기수용의 부분 매개 효과가 유의하였다. 셋째, 사회적 지지와 자기수용의 관계, 사회적 지지와 강점인식의 관계에서 내적 귀인성향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SPSS PROCESS Macro 모델 1을 활용한 결과, 사회적 지지와 자기수용의 관계에서는 내적 귀인성향의 조절 효과가 유의하지 않았던 반면, 사회적 지지와 강점인식의 관계에서 내적 귀인성향의 조절 효과가 유의하였다. 넷째, 사회적 지지와 강점인식의 관계에서 자기수용의 매개 효과와 내적 귀인성향의 조절 효과를 동시에 갖는 조건부 과정모형을 검증하기 위해 SPSS PROCESS Macro 모델 5를 활용한 결과, 조건부 과정모형이 유의하였다. 즉, 사회적 지지와 강점인식의 관계를 자기수용이 부분 매개하며, 사회적 지지와 강점인식의 관계를 내적 귀인성향이 유의하게 조절하였다. 본 연구는 강점인식의 선행변인을 체계적으로 고찰하여 대학생의 강점인식을 위한 개입 방향을 구체적으로 제시하는 등 강점인식에 대한 통합적 인식을 촉진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ediating role of self-acceptance and the moderating role of internal attribution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social support and strengths knowledge. among university students. In total, the data from 327 subjects were analyzed using the PROCESS Macro in SPS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ocial support, self-acceptance, and internal attribution all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strengths knowledge. Second, self- acceptance partially mediated the association between social support and strengths knowledge. Third, internal attribution significantly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strengths knowledge, but not the association between social support and self-acceptance. The results indicated that various mechanisms may be involved in enhancing the strengths knowledge in university stud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