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권위주의 국가의 전장 효율성 이론을 제시한 탈마지의 연구는 군사 효율성 이론의 한계를 극복한 중요한 연구였다. 그의 이론은 권위주의 정권이 직면한 위협 환경에 따라 특정 형태의 군사 조직 관행을 채택하고 이것이 전장 효율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었다. 이는 일국의 군대가 갖는 효율성의 변이를 군사 조직 관행을 통해 분석하였으며, 이를 통해 전술적 관점에서의 전장 효율성을 평가하였다는 점에서 중요한 학술적 의의를 갖는다. 그러나, 그의 이론 또한 명확한 한계를 노정한다. 그것은 군사 조직 관행만으로 전장 효율성을 설명하지 못한다는 것이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는 전쟁 준비단계에서 설득력을 갖는 군사 조직 관행에 더하여 전쟁 수행단계에서 전장 효율성을 결정하는 새로운 변수의 개발을 필요로 한다. 그 중 하나로 현장 지휘관의 전투지휘능력을 제시한다. 전장 효율성 이론이 보다 적실성을 갖기 위해서는 탈마지 이론의 인과 메커니즘을 보완함과 아울러 연구의 대상을 민주주의 국가로 확장시킬 수 있는 새로운 연구의 방향을 모색하여야 한다.


The study of Talmadge, which presented the theory of battlefield effectiveness in an authoritarian regimes, was an important study that overcame the limitations of the theory of military effectiveness. His theory was that authoritarian regimes adopt certain types of military organizational practices depending on the threat environment they face, which affects battlefield effectiveness. This has important academic significance in that it analyzed the variation in the effectiveness of a national military through military organizational practices and evaluated the battlefield effectiveness from a tactical point of view. However, his theory also exposes clear limitations. That is, military organizational practices alone do not explain battlefield effectiveness. In order to supplement this, in addition to the persuasive military organizational practices in the war preparation phase, it is necessary to develop new variables that deter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battlefield in the war execution phase. As one of them, the field commander’s combat command ability is presented. In order for the battlefield effectiveness theory to have more relevance, it is necessary to supplement the causal mechanism of the Talmadge theory and find a new research direction that can expand the research target to a democratic count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