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은 18세기 조선 왕조에서 중앙 관료로 재직하였던 관원의 정치적 견해와 식견을 사례로 하여 당대 문신 관료의 동향을 살피고자 하였다. 조선 왕조는 사대부의 국가라고 할 정도로 유교적 지식을 관료가 지녀야할 소양이라고 하였다. 사대부 관료는 유교적 소양을 바탕으로 국가의 정무 활동에 임하였다. 위로는 국왕을, 아래로는 백성을 위한다는 충군애민의 상념으로 관료 생활을 하였다. 이 글의 주인공인 이태중은 중앙 관직에 부임할 때에는 간관으로서 강직한 성품을 보여주었다. 국왕 영조의 심기를 건드려 엄한 언사를 듣는 일도 많았다. 그럼에도 그는 소신에 따라 일을 처리했고 소임에서 벗어나는 일을 하지 않았다. 이런 관료적 품성에 따라 전라도 관찰사, 진도군수, 황해도 관찰사, 평안도 관찰사 등의 외관직을 역임하면서 공평무사한 정치 활동을 하였다. 따라서 당대의 사회 경제에 대한 관료로서의 그의 처사 및 식견을 살필 수 있다. 영조대 관료의 정책 수행 실상을 보여주는 인물로서 중앙 관료가 외관직을 역임하며 수행한 정책들을 살필 수 있다.


This article is intended to examine the trends of the bureaucrats at the time by taking as an example the political views and insights of a government official who served as a central bureaucrat in the Joseon Dynasty in the 18th century. The Joseon dynasty called Confucian knowledge as a necessary skill that a government official should have to the extent that it was called a state of scholar-gentlemen. The bureaucrats of the bureaucracy engaged in political affairs in the state based on their Confucian knowledge. He lived as a bureaucrat with the idea of serving the king above and the people below. In particular, the basic knowledge of central bureaucrats in the 18th century was public opinion. The figure represented in the activities of the figures discussed in this article is an effort to point out and correct the king's wrong judgment. At the same time, he is faithful to his natural duty as a bureaucrat who wants to make people's lives peaceful. In the end, it can be said that the Joseon dynasty's attempt to save the education of bureaucrats from Confucianism was completed in the 18th centu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