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최근 초기 문해력의 차이가 이후에 더 커다란 문해력 및 학습 격차로 이어진 다는 인식이 확산되면서 초기 문해력 교육이 부각되고 있다. 이 연구는 초기 문해력 교육의 새로운 방향과 가능성을 제안하고 검증해온 ‘읽기 따라잡기 프로 그램’에 대해 살펴보고, 읽기에 곤란함을 겪는 아이들에 대한 교육적 지원 방안 및 초기 문해력 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찾고자 하였다. 읽기 따라잡기 프로그램은 한국판 리딩 리커버리 프로그램으로, 초등학교 1-2학년 어린 아이들이 도달해야 할 문해력 수준을 가정하며, 하위 20% 학생들 을 대상으로 하여 개별 지도를 함으로써 그 아이들을 1-2학년 시기 아이들의 평균 수준에까지 이르도록 지원한다. 읽기 따라잡기 교육의 슬로건은 “아이로부 터 출발하라. 그리고 교사를 세워라”이다. 이 슬로건 안에는 읽기 따라잡기 프로그램의 두 가지 원칙, 즉 ‘개별화된 조기 개입 프로그램’이라는 원칙과 ‘연 구에 기반한 균형잡힌 접근법’이라는 원칙이 담겨 있다. 이 연구에서는 학술저널 초기 문해력 교육에 실려 있는 교사들의 자기 비평을 중심으로 읽기 따라잡기 수업의 특성과 초기 문해력 교육 일반에 시사하 는 점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 결과 (1) 읽기 따라잡기 수업은 문해력과 자존감의 상관관계를 보여주며, (2) 읽기 따라잡기 교사들은 끊임없이 아이의 눈높이에서 머무르고자 한다는 것, (3) 교사들은 패턴화된 읽기 따라잡기 수업을 다양하게 재구성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읽기 따라잡기 프로그램은 (1) 초기 문해력 교육에 대한 패러다임을 변화시켰 으며, (2) 초기 문해력 시기 교실 밖 문해 환경의 영향이 중요하다는 인식을 확산시켰고, (3) 실제로 이 프로그램에 참여한 아이들의 사례를 통해 읽기 따라 잡기 프로그램이 읽기 발달 최하위 학생들이 또래들의 평균적인 수준을 따라잡 도록 하는 데 효과적인 프로그램임을 증명하는 등의 성과를 거두었다. 그러나 향후 읽기 따라잡기 프로그램이 지속 가능하면서 보편적인 초기 문해력 교육 프로그램으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1) 패턴화된 수업을 넘어서서 다양한 수업 방식을 수용하는 것, (2) 읽기 따라잡기 교사에게 요구되는 전문성의 부담을 줄이는 것, (3) 교사의 실천가-연구자로의 성장 과정을 다양화하는 것 등의 과제를 해결해야 한다.


Recently, as the perception that the difference in initial literacy leads to a larger literacy and learning gap is spreading, early literacy education has been highlighted. This study examines the “Ilg-gi Ttalajabgi (읽기 따라잡기) program,” which has suggested and verified new directions and possibilities of early literacy education and seeks educational support for children who have difficulty reading. The Ilg-gi Ttalajabgi program is a Korean version of the Reading Recovery Program, which assumes the level of literacy that young children in grades one and two of elementary school should attain. Furthermore, this program supports the lower 20% students in reaching the average level of children in the first and second grades through individual guidance. The slogan of the Ilg-gi Ttalajabgi program is “Start with the child. And set up teachers.” This slogan encompasses the two principles of the Ilg-gi Ttalajabgi Program: an “individualized early intervention program” and a “research-based, balanced approach.”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the Ilg-gi Ttalajabgi class and its implications for early literacy education in general were investigated, focusing on the self-criticism of teachers published in the academic journal “Early Literacy Education.” The results confirmed that (1) the Ilg-gi Ttalajabgi class showed a correlation between literacy and self-esteem, and (2) the Ilg-gi Ttalajabgi teacher continuously tried to remain adapted to the child's eye level. Finally, (3) teachers reconstruct the patterned teaching method in various ways. The Ilg-gi Ttalajabgi program show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this program transformed the paradigm for early literacy education. Second, it spread the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the influence of the literacy environment outside the classroom during the early literacy period. Moreover, the actual examples of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this program proved that the Ilg-gi Ttalajabgi Program was effective in helping students with the lowest reading development reach the average level of their peers. However, for the Ilg-gi Ttalajabgi program to develop into a sustainable and universal early literacy education program, it must (1) allow various teaching methods beyond patterned education and (2) reduce the burden on the professionalism of the Ilg-gi Ttalajabgi teacher. Finally, (3) it is necessary to diversify the growth process of teachers as practitioner- research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