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최근 홀로세 기후에 관한 분석 자료가 축적되면서 그동안 미진했던 신석기시대 기후에 관한 논의가 진행되었다. 그리고 신석기 사람들은 나름대로 기후 변화에 대응하여 물질문화를 변동하였음이 밝혀졌다. 하지만 주요 생업도구인 석기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다. 이 글의 목적은 신석기시대 기후 변화에 따른 대응 과정에 대해 석기체계 변화를 통해 살피는데 있다. 한강유역은 한반도 다른 지역보다 발굴 성과가 축적되었고, 석기체계에서 지역성 또한 존재한다. 기후 최적기에는 한강 유역에 조성된 대규모 마을 유적을 중심으로 다양한 석기를 사용하여, 생업 활동을 하였다. 석기의 출토 수량으로 볼 때 뗀석기도 주요 생업 도구였다. 특히 유적의 입지 환경(층적지/구릉)에 따라 주거체계 및 뗀석기 기술 체계(제작‧사용‧폐기)를 다르게 이용하여 생업 활동을 전개하고 있는 것이 주요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기후 최적기 이후 잦은 한냉화에 의한 불안정한 기후 환경에서 한강 유역의 신석기 사람들은 취락을 소규모화 하였고 소규모화 된 마을 유적에서는 고석 혹은 갈돌‧갈판만을 사용한 단순한 석기체계로 생업 생활을 영위하였다. 한편으로 이들은 주변의 단독 주거지로 특수 목적 집단을 보내, 식량 자원을 획득하는 조달적 이동 양상으로 조직적인 생업 활동을 하였다. 이와 같이 기후 환경의 변화에 따라 한강 유역에 거주한 신석기인들은 주거지 및 석기 체계 전략을 변화시키면서 환경에 대응하였다.


As the climate data in the Holocene Epoch has been accumulated lately, the discussion on the climate of the Neolithic Period which is proceeding again, which was inactive for a while. However, the stone tool as a main tool for subsisting on still need more work. In the Holocene climatic optimum, A variety of stone tools were used to subsist on in a large scale of residential remains near the Han river valley. knapped stone was also one of the main tools for a living based on the amount of stone tools excavated. Especially, the main feature is that a production activity was conducted by using a different knapped stone technic and residential system according to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f the remains(an alluvion/hill). In 4,200B.P. people in the Neolithic community in the dry climate after the Stade lived a life in small-sized residential sites intensively using Hammer stone or Mitting stone-Saddle quern. Futhermore, they sent people which had special purposes to a detached house area in order to get food resources such as logistically residential system. Thus as the climatic environment had changed, people near the Han river valley in the Neolithic community adapted gradually adjusting the strategies of residential areas and the Lithic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