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1923년, 정지용이 번역한 두 편의 ‘그리스 신화’ 이야기는 시적 변용을 거쳐 다시 정지용의 작품이 되어 돌아왔다. 「퍼―스포니와 水仙花」와 「黎明의 女神 오―로아」(『휘문』 창간호, 1926)라는 그리스 신화의 이야기가 「산에ㅅ 색시 들녘사내」(『문예시대』 1호, 1926.11.)와 「毘盧峰」(『가톨닉靑年』 1호, 1933.6.)으로 재탄생된 것이다. 이에 본고는 정지용이 번역한 그리스 신화와 두 편의 시를 비교 분석하고, 이를 통해 정지용의 번역 경험이 그의 창작에 미친 영향을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번역과 창작 사이, 정지용에게 있어 그 굴절의 각도는 꽤 가파른 것으로 보인다. 정지용의 번역 경험이 다시 창작으로 이어지기까지는 수년의 시간적 간극이 있을 뿐만 아니라 이 번역 글의 모티프들이 차용되어 시 작품으로 변모하기까지의 차이도 크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지용의 번역 경험은 창작에 분명히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본고는 이 텍스트들을 번역 문학의 관점에서 고찰해 보며, 궁극적으로 정지용의 번역 경험은 ‘자기 변용적 창조’라는 공정 과정을 거쳐 자신의 창작의 밑거름으로 활용되고 있음을 밝히고자 한다. 1920년대 해외문학의 수용·번역과 창작을 동시에 수행한 작가들은 ‘조선적인 것’을 높은 수준으로 구현할 수 있는 작가의 도래를, 세계문학과 비교해도 손색이 없는 작품들의 등장을 기원했다. 이러한 맥락에서 정지용의 시 「산에ㅅ 색시 들녘사내」, 「毘盧峰」과 그가 번역한 두 편의 그리스 신화 사이에 상호텍스트성이 성립한다는 점을 증명한다면 새로운 의미 부여가 가능해질 것이다. 본고에서 다룰 이 두 시편은, 한국근대문학에서 ‘번역시’의 성취를 보여줄 수 있는 텍스트의 발견인 동시에 정지용에게 있어 ‘조선’이라는 ‘항(項)’이 그의 문학적 정체성과 어떠한 연관이 있는지를 설명해줄 수 있다는 점에서 유의미하다. 정지용의 이 두 작품은 번역 경험을 바탕으로 한 창작적 재구축의 성과로 평가되어야 한다.


This study aims to consider Jeong Ji-Yong as a poet who combined translation and creation. This paper is the second part of the study. In 1923, Jeong Ji-Yong translated two stories of 'Greek mythology'. These stories went through poetic transformation and became the poetry work of Jeong Ji-Yong again. Two stories of ‘Greek mythology’ - ‘Persephone and Narcisuss’(「퍼―스포니와 水仙花」, 《휘문Hwimun》 1st issue, 1926) and ‘the Goddess of dawn, Eos’(「黎明의 女神 오―로아」《휘문Hwimun》 1st issue, 1926) - was reborn as Jeong Ji-Yong’s two poet - ‘Mountain’s Bride, Field’s Lad’ (「산에ㅅ 색시 들녘사내」, 《문예시대Munyesidae》 1st issue, 1926.11) and ‘Birobong Peak’(「毘盧峰」, (《가톨닉靑年Catholic Cheongnyun》 1st issue, 1933.6). This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mparatively analyze the process by which these poems were made and to reveal the influence of Jeong Ji-Yong's translation on his creation. There is a time gap of several years between Jeong Ji-Yong's translation experience and creation. In addition, there were many changes until a story was made into a poetry. The angle of refraction between translation and creation seems quite steep. Nevertheless, Jeong Ji-Yong's translation clearly influenced his creation. Therefore, this paper will examine these works from the perspective of translation literature, and ultimately define that Jeong Ji-Yong's translation experience is being used as a basis for his own creation through a process called 'self-transforming creation'. There is an intertextuality between Jeong Ji-Yong’s ‘Mountain’s Bride, Field’s Lad’ and ‘Birobong Peak’ and the two Greek myths he translated. The reason why this discovery is significant is, first of all, it is the discovery of a text that can show the achievement of 'translated poetry' in Korean modern literature, and secondly, it explains how 'the things of Josheon' is related to his literary identity for Jeong Ji-Yong. Writers who accepted, translated, and created foreign literature in the 1920s simultaneously prayed for the advent of writers who could embody “the the things of Josheon” at a high standard. They hoped that translation would become the driving force for creation, and that works comparable to world literature would appear. These two poems of Jeong Ji-Yong are just suchlike, in other words, they should be evaluated as the achievements of creative reconstruction based on his translation experi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