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코로나 이후 대면 수업과 비대면 수업의 병행을 위한 방안으로 경도 지적장애 학생을 위한 Flipped PBL 교수·학습 모형을 개발함에 목적이 있다. 연구자는 선행연구 분석과 현장 요구도 조사를 통해 Flipped PBL 초기 모형을 개발하였으며, 예비 수업 실행 및 전문가 타당성 검토를 거쳐 본 모형을 완성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모형은 8모듈 11단계로 (1) 오리엔테이션, (2) 사전 학습 및 문제 파악, (3) 문제해결방안 탐색, (4) 문제해결책 결정, (5) 학습내용 점검, (6) 문제해결책 실행, (7) 정리, (8) 공유로 구성되었다. 둘째, 본 모형은 문제해결과정에서 학생들의 자기주도학습을 강화하고자 하였다. 셋째, 본 모형은 모둠 내 토의를 통해 학생들의 문제해결방법을 결정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넷째, 본 모형은 Flipped Learning과 PBL의 보편성과 학습자의 특수성을 반영하고 교수적합화를 통하여 경도 지적장애 학생들이 두 교수·학습 과정의 장점을 경험할 수 있도록 하였다. 연구자는 위의 결과를 토대로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Flipped PBL instructional model for student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as a way to combine face-to-face and non-face-to-face classes after Corona. The researcher developed a first model of Flipped PBL through pilot study analysis and field needs survey and completed this model after preliminary classes and expert feasibility valida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is model consists of eight modules: (1) orientation, (2) pre-learning and problem identification, (3) exploration of problem solutions, (4) determination of problem solutions, (5) review of learning contents, (6) practice problem solutions, (7) organization, and (8) sharing. Second, this model tried to strengthen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during the problem-solving process. Third, this model is designed to help students decide how to solve problems through group discussions. Fourth, this model includes the universality of Flipped Learning and PBL and the specificity of learners, allowing student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to experience the advantages of both instructional courses through instructional adaptation. Based on the results, the researchers presente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