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보라매 적환장을 사례로 비선호시설의 영역성을 고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폐기물 적환장을 비롯한 비선호시설을 다룬 선행연구들은 시설 입지 선정과정에서의 갈등에만 집중하는 경향이 있으며, 갈등 양상을 분석하는 과정에서도 영역을 폐쇄되고 고정된 것으로 인식하는 방법론적 영역주의에 갇혀있다. Joe Painter의 ‘네트워크 효과로서의 영역’ 개념을 통하여 본 연구는 폐기물 적환장의 입지와 운영을 둘러싼 갈등은 역사·지리적인 조건에서 행위자의 네트워크 변화에 따른 영역화와 재영역화의 과정으로 이해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보라매 적환장 사례를 분석한 결과, 보라매 적환장의 영역은 1970년대 중앙정부와 서울시의 폐기물 관리전략의 변화에 따라 관악구와 동작구 간 연대의 결과로서 형성되었다. 하지만 인근 개발에 따른 주민들의 민원 속에서 기존 영역은 동작구의새로운 네트워크 형성을 통해 재영역화 되었다. 본 연구는 네트워크 효과로서의 영역의 관점에서 폐기물과 비선호시설의 지리를 이해하기 위한 논의를 발전시키는데 기여한다.


We examine the territoriality of locally unwanted facilities using a case study of Boramae waste transfer station (BWTS). Previous studies on locally unwanted facilities have paid less attention to the changes in conflicts over location of facilities as they are often trapped into a methodological territorialism that perceives a territory as being self-closed and fixed. Through considering territory as the effect of network proposed by Joe Painter, we argue that conflicts over the location and operation of locally unwanted facilities should be understood as a process of the territorialization, and reterritorialization through constant changes in the network among various actors under the specific geographical and historical conditions. The territory of BWTS was produced by engagement between Gwanakgu and Dongjak-gu government in accordance with changes in the waste management strategies of the central government and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However, faced with complaints from nearby residents, Dongjakgu made connections to other actors, leading to subsequent reterritorialization.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the debate on the geography of waste and locally unwanted facilities through analyzing the territoriality of BWTS in the perspective of territory as the effect of netwo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