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코로나19 유행 이후 도시 교통량과 미세먼지의 농도 변화를 파악하고, 코로나19 유행기와 휴지기의 교통량 및 미세먼지 농도의 변화율 차이를 규명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의 공간적 범위는 서울시이며, 국내 코로나19 확진자 추이를 기준으로 1차 유행기와 1차 휴지기를 선정하여 동일 시기 2019년과 비교하였다. 분석결과, 1차 유행기의 교통량과 PM10, PM2.5의 농도는 전반적으로 2019년에 대비하여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1차유행기와 1차 휴지기의 변화율을 비교한 결과, 교통량과 PM2.5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1차 유행기에 더 감소하였다. 본 연구는 코로나19의 장기화로 변화하는 도시에 대응하여, 코로나19가 교통량과 미세먼지에 미치는 영향을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changes in urban traffic volume and fine particulate matter before and after the COVID-19 pandemic, and to identify differences in traffic volume and fine particulate matter during the COVID-19 epidemic periods and rest periods. The area of the study is Seoul, and the first epidemic period and the first rest period were selected based on the trend of confirmed cases of COVID-19 in Korea. And it was compared to the same period in 2019. A result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traffic volume, PM10, and PM2.5 during the first epidemic period were generally decreased compared to 2019. In addition, the traffic volume and PM2.5 during the first epidemic period decreased significantly more than the rate of changes during the rest period.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analyzed the impact of COVID-19 on traffic volume and fine particulate matter in response to the city changing due to the prolonged COVID-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