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대학 글쓰기 교육이 양적⋅질적 다양화와 더불어 교육과정 수준에서의 체제적 접근이 이루어져야 할 필요성에 주목하여, 이에 기여할 수 있는 대학글쓰기 교육 구조를 탐색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인간 행동 변화의 원칙과 변화 과정을 통합적 관점에서 설명하는 범이론적 모형(Transtheoretical Model)에 기반하여 대학 글쓰기 교육 체제를 제시하고, 그 효과성을 탐색하였다. 대학 글쓰기 교수법 연구 동향에 대한 고찰과 범이론적 모형 탐색을 바탕으로본 연구는 대학 글쓰기 교육 체제를 제시했다. 본 연구의 대학 글쓰기 교육 체제는 계획-개발 및 적용-평가의 구조를 지닌다. 먼저 계획 단계에서 대학 글쓰기의중핵적 교육 목표를 바탕으로 성취 목표를 구성한다. 이후 개발 및 적용 단계에서범이론적 모형에 기반하여 프로그램을 크게 3단계로 구성한다. 마지막으로 평가단계에서는 프로그램에 대한 총체적 평가를 하고,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프로그램을 수정 보완함으로써 환류 체계를 갖춘다. 이 연구는 범이론적 모형에 기반하여 대학 글쓰기 교육 체제를 제시하고 그것의 필요성과 효용성을 입증하여, 대학 글쓰기 교육의 체계화에 기여했다는 의의를지닌다.


This study focused on the need for a systematic approach to university writing education along wi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diversification. Therefore, it aims to explore the structure of university writing education. Based on the Transtheoretical Model, which explains the principles of human behavior change and the process of change from an integrated perspective, a university writing education system was proposed and its effectiveness was explored. Based on the review of research trends in college writing and the transtheoretical model, this study suggested a college writing education system. The college writing education system of this study has the structure of Plan-Develop and Construct-Evaluation. First, in the Plan stage, the performance objectives are written based on the core educational goals of college writing. In the Develop and Construct stages, the program is largely composed of three stages based on the transtheoretic model. Finally, in the Evaluation stage, the program is evaluated holistically. And refluxed by correcting the program based on the evaluation result and complement. This study has the significance of contributing to the systematization of university writing education by suggesting a university writing education system based on the Transtheoretical model and proving its necessity and effectiven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