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비판이론의 시각에서 초국가적 생산관계에 기초한 신자유주의 세계화와 이에 조응하는 ‘국가의 국제화’에 따른 페루 국가형태의 성격을 분석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후지모리(1990-2000), 톨레도(2001-2006), 가르시아(2006-2011), 우말라(2011-2016) 정부를 중심으로 주요 정책, 정치이념 및 수사, 정치전략을 검토했다. 1990년 이후, 페루는 신자유주의 세계화의 주변부에서 권위적이고 배타적인 정치전략과 워싱턴 컨센서스로 대표되는 안정화 및 구조조정 정책을 추진했다. 그러나 온전한 헤게모니를 구축하지 못한 신자유주의는 많은 비판에 직면하게 되고 1990년대 중반 이후 좀 더 보편적인 동의를 획득하고자 ‘포섭적 신자유주의’로의 변화를 보였다. 이는 포스트 워싱턴 컨센서스로 구체화되었고 개별 국가 주도적 빈곤 감축 및 사회정책을 강조하는 정치적 전략의 결합으로 나타났다. 이 논문에서 살펴본 정부들의 정책적, 정치수사적 차별성은 이러한 변화에 조응하는 외양일 뿐이라 할 수 있다. 또한 페루의 사례는 배타적 신자유주의 국가에서 포섭적 신자유주의 국가로 전환되었을 때 오히려 경제주의적 신자유주의가 정치적, 사회적 영역까지 확장되고 제도화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This study attempts to explain the feature of Peruvian state that responds the neoliberal globalization and the ‘internationalization of state’, which they determined by transnational power relations from the critical theory approach. To this end, this study examined the major policies, political ideology and rhetoric, political strategies of the Peruvian governments focusing on the Fujimori(1990-2000), Toledo(2001-2006), Garcia(2006-2011), and Umala(2011-2016). The character of respective government have reflected changes in the nature of globalization and policy failures of previous governments. It can be explained as an exclusive neoliberal state in the Fujimori and Garcia governments and a inclusive neoliberal state in the Toledo and Umala governments. This shows that despite the political rhetoric of each government, the characteristics of each government are merely an outward change of a neoliberal state in response to the shift from neoliberalism to inclusive neoliberalism with peruvian accumulation regime that depends on extractional econom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