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평화가치의 생산성을 담론, 정책, 교육 등을 중심을 살펴보고, 한계점을 논한후 생산성 향상을 위한 새로운 방향성을 짚어보았다. 문재인 정부는 우리 사회가 추구해야 할 최우선의 가치로 평화를 꼽았다. 2018년 판문점 선언 이후 한반도는 분위기 반전을 보였으며, 이는 곧 평화가치 구현의 발판을 마련하는 초석이 되었다. 그러나 현 시점에서 평화가치는 다른 가치들과 대치되거나 상반된 개념으로 부각되고 있으며, 평화만들기를 위한 방안들의 구체적 실체, 즉 결과물이 보이지 않고 있다. 그리고 평화·통일교육에서도 평화 만들기를 위한 조건과 실천적 노력을 제시하는데 있어 부족함을 보였다. 그 결과 오늘날 우리 사회에 평화는 거의 관념적이고 추상적인 이미지로만 비추어지고 있다. 평화가치의 생산성 제고 문제는 우리 사회가 놓아서는 안 될 과제이다. 분단국가의 현실을 감안하고 이에 따른 분단갈등과 폭력의 실제가 존재하는 이상 우리 사회는 평화가치에 대한 고민을 종결해서는 안 되며, 적극적 평화 만들기를 위한 노력을계속 경주해야 한다. 이를 위해 기존 평화담론의 비판적 성찰 속에 새로운 상상력이 더해진 담론의 제시와 함께 정교하고 세밀한 평화기획과 실천 방안의 마련이 요구된다.


This study looked at the productivity of peace value focusing on discourse, policy, and education, discussed the limitations, and pointed out new directions for productivity improvement. The Moon Jae-in government chose ‘peace’ as the highest value that Korean society should pursue. Since the Panmunjom Declaration in 2018, the atmosphere on the Korean Peninsula has reversed, laying the foundation for peace. At this point, however, peace values have emerged as concepts that confront or conflict with other values, and no concrete results have been found in the peace-building measures. It also shows that peaceful unification education is insufficient to present conditions and practical efforts for peace-building. As a result, peace in today's Korean society is largely based on ideological and abstract images. The issue of improving the productivity of peace values is a task that Korean society must not stop. Considering the reality of a divided country, Korean society should not end its worries about peace values and continue to strive for positive peace-building. To this end, the government should present a new imagination based on critical reflection of the existing peace talks, and devise detailed peace plans and practical measur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