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경찰관에 의한 보안유출범죄를 경찰부패와 결부지어 유형화하고, 그 실태를 파악한 후 그 결과를 바탕으로 실효성 있는 근절대책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최근 4년간의 공무상 비밀 누설 및 개인정보보호법 위반 사건의 제1심 판결문 중 피고인이 경찰공무원인 경우를 대상으로 보안유출범죄 실태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의 주요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경찰관의 보안유출범죄의 약 80%가 외부 업자와의 유착관계에서 비롯되었거나 뇌물수수 등 대가성을 띠고 있었고, 제1심에서 유죄선고를 받은 보안유출범죄는 모두 수사ㆍ생활안전 2개 분야에서만 발생했으며, 유출자의 절반 이상이 경찰서 소속 인력이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i) 보안유출이 집중되고 있는 수사 및 생활안전분야 경찰관 대상 특단의 보안대책 수립ㆍ시행, (ii) 보안유출에 대한 내부감찰 강화 및 보안유출혐의를 경찰부패 수사의 단서로 활용, (iii) 공무상 비밀누설 교사ㆍ방조자에 대한 형사처벌 조항 신설 등 경찰관의 보안유출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위한 정책 방향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ategorize security leakage crimes by police officers based on their relationship with police corruption, identify the current status, and present effective prevention measures based on the results. To achieve this goal, the court judgments of the security leakage cases over the past four years has been analyz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has been found that cases of collusion or quid pro quo (such as bribery) with private companies account for approximately 80 percent of all security leaks by police officers. The security leaks, convicted in the first trial, occurred only in two areas: criminal investigation and public safety. More than half of the police officers who leaked security were working at the police station. Based on these findings, the following policy alternatives were proposed: First, special security measures should be implemented for police officers working in criminal investigations and public safety departments. Second, it is necessary to find ways to use the suspicion of security leaks as clues to investigations into police corruption. Finally, the Criminal Act needs to be amended to enable criminal punishment against citizens who participate in security leakage crim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