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고종 즉위와 함께 흥선대원군 주도로 경복궁이 중건되었다. 중건 경복궁은 조선 초 경복궁의 재현이 아니라 조선후기에 축적된 의례 전통이 발현된 결과물이었다. 의례 공간 중에서도 제례 공간이 확대되었다는 점은 중건 경복궁의 주목할 만한 특징이다. 제례 공간은 흉례(凶禮)를 위한 빈전(殯殿)・혼전(魂殿) 권역과 선왕의 어진을 봉안한 길례(吉禮) 공간인 선원전(璿源殿) 권역으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이때 빈전, 혼전 및 선원전은 모두 종친부와 긴밀히 연결되어 있었다. 흥선대원군은 경복궁을 중건하면서 종친부의 정치적 권한을 확대함과 동시에 종친부 건물을 확장하였다. 종친부는 광화문 앞 의정부・삼군부와 경복궁을 사이에 두고 긴밀하게 연결되어 하나의 권역을 형성했다. 종친부 내 핵심 건물은 흥선대원군의 집무실인 아재당(我在堂)과 함께 철종의 어진을 봉안한 천한전(天漢殿)이었다. 흥선대원군은 경복궁 선원전에서 철종을 배제하는 대신 종친부 내에 새로운 철종 어진봉안처, 천한전을 건립하였다. 이로써 선원전 권역이 궐 밖으로 확장된 것이다. 이와 함께 궁궐 내 빈전 및 혼전 등 흉례 공간이 궁궐 북서쪽 권역에 들어섰다. 그런데 이 공간은 전체 궁궐면적의 1/5 가량을 차지하지만 건물 사이의 밀도는 매우 낮았다. 이는 중건 경복궁 내에서 흉례 공간이 특별한 위상을 지니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위와 같은 선원전 및 빈전・혼전 공간은 종친부가 의례를 주도하는 대표적인 공간이었다. 소렴과 대렴 의식 등 흉례 의식이 진행될 때 종친이 백관과 함께 거애 의식에 참여하는 것은 국초부터 정해진 의례 절차였다. 진향 절차에서 종친은 항상 문무백관 앞에서 의식을 진행하기 때문에 빈전・혼전 공간은 자연스럽게 위계를 형성할 수 있는 공간이었다. 그리고 종친과 문무백관 다수가 의식에 참여해야 했기 때문에 더 넓은 공간이 확보되어야 했으며, 종친이 의례를 주도하는 공간이기 때문에 더욱 강조된 것이다. 이와 같이 중건 경복궁은 종친부 강화라는 맥락에서 종친부 공간과 연동해서 해석해야만 그 특징을 명확히 이해할 수 있다.


The ceremonial space is an important component of the palace. In particular, the ritual space was a symbolic space expressing the ideology of ‘filial piety(孝)’. When Gyeongbokgung was reconstructed, the ceremonial space was expanded. The ceremonial spaces of Gyeongbokgung Palace, Binjeon(殯殿), Honjeon(魂殿), and Seonwonjeon(璿源殿) are all closely connected with Jongchinbu(宗親府). When Heungseon Daewongun(興宣大院君) reconstructed Gyeongbokgung Palace, he expanded the Jongchinbu building. Jongchinbu is close to Uijeongbu(議政府), Samgunbu(三軍府) and Gyeongbokgung Palace(景福宮). All these spaces are connected. Ahjaedang is the office of Heungseon Daewongun, and Cheonhanjeon is the building where the portrait of King Cheoljong(哲宗) is enshrined. The portrait of King Cheoljong did not exist in the newly built Seonwonjeon Hall of Gyeongbokgung Palace. Instead, the Cheonhanjeon(天漢殿) was built to enshrin the portrait of King Cheoljong in Jongchinbu. In the end, the Seonwonjeon area was extended outside the palace through Cheonhanjeon. The Binjeon and Honjeon buildings are located in the northwest area of ​​the palace. It occupies 20% of the total area of ​​the palace. However, the density of each building was very low. As such, the ceremonial space occupied a high position in Gyeongbokgung Palace. When performing the ritual, When performing the ritual, Jongchin stood in front of the king’s servant. A hierarchy was formed in the sacrificial space. And because there were so many people in attendance, they needed more space. When Heungseon Daewongun strengthened the Jongchinbu, the ancestral hall of Gyeongbokgung was expanded. The sacrificial space was emphasized because it was the space of Jongch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