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마을교육공동체의 관계적 속성에 주목하여 다양한 참여 주체들 간의 연결 관계와 연결망의 구조적 특성을 파악하고자 사회연결망분석(SNA)을 실시하였다. 연구를 위해 광주광역시 월산동 마을교육공동체를사례로 선정하였고, 2018년 월산동 마을교육공동체 사업에 참여하는 총 55명을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월산동 마을교육공동체는 다양한 속성을 가지는 참여 주체들 간 연결정도가 각각 다르며, 중심 주체(키맨)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주체들이 존재함을 확인할 수있었다. 둘째, 월산동 마을교육공동체의 주체들은 ‘약한 연결’ 관계를 가지면서 ‘열린 연결망’을 형성하고 있었는데, 이는 느슨한 연대의 개방형 공동체 구조를 갖추고 있었다. 셋째, 월산동 마을교육공동체는 매개자(broker)의 역할을 통해 열린 연결망의 취약점인 연결망의 연결성과 효율성을 높이고 있었다. 요컨대 월산동 마을교육공동체는 이질적이고 다양한 주체들간의 참여와 느슨한 연대의 개방형 구조를 인해 형성된 교량적 사회적 자본이 공동체 유지와 활성화에 긍정적 효과를 발휘한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conducted social network analysis(SNA) to understand the connection relationship and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network among various participating entities by paying attention to the relational properties of the Maeul Learning Community. The Wolsan-dong Maeul Learning Community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was selected as an analysis cas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degree of connection between participants is different, and the subjects who are establishing themselves as keymen can be identified. Second, it was forming an "open network" with a "weak connection" relationship, which had an open community structure of loose solidarity. Third, the role of the broker was increasing the connectivity and efficiency of the network, which is the vulnerability of the open network. In the end, bridge social capital formed through open structures of heterogeneous and diverse subjects and loose solidarity has shown a positive effect on revitalizing the commun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