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마음챙김·수용전념에 기반한 심리기술훈련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고등학교 여자 유도선수들의 수용행동, 스포츠마음챙김, 스포츠심리기술, 수행력에 미치는 효과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마음챙김·수용전념 접근을 바탕으로 박인우(1995)의 체계적 상담 프로그램 개발 모형에 따라 조사, 분석, 설계, 구성, 적용, 평가의 6단계에 맞춰 프로그램을 구안하였다. 프로그램은 경기도 U시의 고등학교 여자 유도선수 10명을 실험집단으로, 경상북도 G시의 고등학교 여자 유도선수 12명을 통제집단으로 배치 후 실험집단에 본 연구자가 개발한 마음챙김·수용전념에 기반한 심리기술훈련 프로그램을 주당 2회기씩 총 9회기 동안 실시하였다. 프로그램 시행 전후 수용행동, 스포츠마음챙김, 스포츠심리기술, 수행력 검사를 실시하고 Mann-Whitney U 검정과 Wilcoxon Signed-Ranks 검정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실험집단의 수용행동, 스포츠마음챙김, 스포츠심리기술, 수행력의 수준이 유의미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 운동선수들의 심리기술을 향상시키는데 있어 마음챙김·수용전념 접근의 활용을 위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apply a psychological skills training program based on mindfulness/acceptance & commitment, and then to verify its effects on the performance, sport psychological skills, acceptance behavior, and sport mindfulness of high school female judo athletes. Following the systematic counseling program development model by Park In-Woo(1995) based on the mindfulness/acceptance & commitment approach, this study established a program based on total six steps like research, analysis, design, composition, application, and evaluation. After selecting ten high school female judo athletes in U city of Gyeonggi-do as experimental group, and selecting 12 high school female judo athletes in G city of Gyeongsangbuk-do as control group, total nine sessions of the psychological skills training program based on mindfulness/acceptance & commitment developed by the researcher were provided to the experimental group two times a week. On top of conducting the test on the performance, sport psychological skills, acceptance behavior, and sport mindfulness before/after the program, this study also performed the Mann-Whitney U Test and Wilcoxon Signed-Ranks Test. As a result, the level of performance, sport psychological skills, acceptance behavior, and sport mindfulness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impro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