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논문은 하버마스(Jürgen Habermas)와 퍼트남(Hilary Putnam) 사이에서 벌어진 보편윤리의 기획을 둘러싼 논의를 분석하고 재구성한다. 하버마스와 퍼트남 사이에서 벌어지는 논의의 핵심쟁점을 쫒아 가며, 하버마스의 담론윤리가 보편윤리로서갖는 설득력과 퍼트남의 담론윤리에 대한 비판이 갖는 타당성을 보여 준다. 이를 통해하버마스의 담론윤리에 대해 퍼트남이 실용주의적 가치 윤리학의 관점에서 제기한비판을 수용하여 그 결과를 도덕교육에 반영한다. 이런 논의의 의도는 담론윤리를중심 틀로 삼아 그 안에서 다양한 윤리이론의 통찰을 받아들이는 것이며, 논의의 결과물을 통합적으로 흡수하는 것이다. 곧 담론윤리의 기초 위에 실용주의적 계몽의 태도를 확고히 하여 보편윤리를 재조명하며, 이를 토대로 도덕교육의 단초를 마련하고자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나아가 이러한 논의를 토대로 하여 도덕교육을 어떻게 구성할수 있을지를 모색하며 이에 대한 예시로서 담론윤리를 활용한 도덕교육 프로그램을제시한다. 그리고 이를 보편윤리와 도덕적 진리에 토대한 도덕교육의 활용 방안의일환으로 내세운다.


This paper analyzes the discussion surrounding the planning of universal ethics between Jürgen Habermas and Hilary Putnam. While reorganizing the key issues of the discussion between Habermas and Putnam, it shows not only the persuasiveness of Habermas' discourse ethics as universal ethics, but also the validity of criticism of Putnam's discourse ethics. Through this, it tries to accept the criticism that Putnam raised from the perspective of pragmatic value ethics on Habermas' discourse ethics, and to reflect the results in moral education. The intention of this discussion is to accept insights from various ethical theories within the framework of discourse ethics, and to absorb the results of the discussion in an integrated manner. In other words, the purpose is to re-examine universal ethics by establishing a pragmatic attitude of enlightenment on the basis of discourse ethics, and to lay the foundation for moral education based on it. Furthermore, based on these discussions, This paper explores how moral education can be organized and presents a moral education program using discourse ethics as an example. And it presents this as part of a plan to utilize moral education based on universal ethics and moral trut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