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충북형 혁신학교인 청주S초등학교 학부모가 학교 참여 경험을 통해 학교의 구성원으로 어떻게 살아가고 있는지, 그 과정에서 어떤 경험을 하는지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탐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학교 참여 학부모를 일반 참여 학부모, 학부모회 집행부 학부모, 아버지회 학부모 그룹으로 나누어 총 11명의 연구 참여자를 선정하여 질적 사례연구 방법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청주S초등학교 학부모는 학교 참여를 통해 긍정적인 인식과 감정, 부정적인 인식과 감정을 모두 경험하고 있었고 이는 추후 학교 참여 활동에 영향을 끼쳤다. 청주S초등학교 학부모는 본인을 ‘교육소비자’ ‘교육조력자’로 인식할 때 화, 서운함 같은 부정적인 감정을 더욱 많이 느끼고 있었다. 청주S초등학교 학부모의 ‘교육소비자’ ‘교육조력자’ ‘교육주체’로서의 정체성은 고정적이지 않고 구성원들 간의 상호작용이나 상황에 따라 유동적으로 달라짐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에 학부모의 학교 참여가 더 바람직한 방향으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교육주체’에 대한 인식전환, 학부모가 교육주 체로서의 정체성을 드러낼 수 있는 참여 경험에 대한 연구, 학교 참여 학부모의 감정에 대한 분석연구가 추가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depth analysis and exploration of how parents of S Elementary School, a Chungbuk-type innovative school, members of the school through school participation experiences and what experiences they have in the process. To this end, a total of 11 research participants were selected and the study was conducted in a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 by dividing the participating parents into participating parents, parents the parent association executive department, and parents the association. Parents of S Elementary School both positiveand negative perceptions and emotions through school participation, which had an impact on future school participation activities. When parents of S Elementary School themselves as and they felt more negative emotions such as anger and sadness. It was found that the identity is not fixed and changes fluidly depending on the interaction or situation among members. Therefore, for in schools to move in a more desirable direction, additional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on their perception of educational subjecttheir experience participating parents' identity as educational subject, andanalysis of school parents' feelin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