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학습민첩성 측정도구의 활용도를 제고하기 위하여 다양한 집단의 구성원들을 대상으로 기존 개발된 학습민첩성 측정도구의 하위 요인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적합한 요인 구조를 탐색하고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학습민첩성 측정도구의 탐색적·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하여 측정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였으며, 학문적·실무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기존 학습민첩성과 관련하여 수행된 연구를 통해 적합한 1,470개의 데이터를 수집하였으며 수집한 데이터를 SPSS 25 프로그램을 통해 탐색적 표본과 타당화 표본으로 무작위 분할하였다. 요인분석 전 정규성, 신뢰도 등의 사전 데이터 분석을 수행하였고,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측정도구에 적합한 요인구조와 요인의 개수를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수정된 측정도구 모형의 적합도를 확인한 후, 원래의 측정도구 요인모형과 비교하여 수정된 4요인 18문항으로 이루어진 모형을 최종적으로 선정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학문적·실무적 시사점을 제언하였다.


In order to enhance the utilization of learning agility scale, this study explored the appropriate factor structure and verified the validity of the existing learning agility scale through analysis of the sub-factors of the existing learning agility scale for members of various groups. The feasibility and reliability of the scale was verified through an exploratory and confirmed factor analysis of the learning agility scale, which was intended to derive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1,470 suitable data were collected from studies conducted in relation to existing learning agility, and the collected data were randomly divided into exploratory and rationalized samples through the SPSS 25 program. Data analysis such as normality and reliability was performed before factor analysis, the number of factors and their suitability for the scale was investigated through an exploratory factorial analysis. Next, after confirming the suitability of the modified research model through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 model consisting of 18 questions with 4 factors, was finally selected compared to the original scale factor model. Based on these findings,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sugges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