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교회 셀 성과에 미치는 리더의 영향과 역할을 제시하는데 있다. 셀 모임 성과는 구성원들의 집단 참여와 신앙성숙으로 나타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셀 리더의 슈퍼리더십이 구성원의 집단 참여 지속의지, 신앙성숙도와 셀프리더십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또한 셀 리더의 슈퍼리더십과 셀 성과 변수 관계에서 셀프리더십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경인지역 셀 구성원 416명의 설문 응답 자료를 수집하여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SPSS 25.0과 AMOS 25.0을 활용하여 직접효과와 간접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셀 리더의 슈퍼리더십은 구성원의 집단 참여 지속의지와 셀프리더십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둘째, 셀 리더의 슈퍼리더십은 구성원의 신앙성숙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셀프리더십을 매개로 정(+)적인 영향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건설적이고 효과적인 사고의 기능적 패턴은 셀프리더십 발휘가 더 큰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인적자원개발 관점에서 셀 성과를 높이기 위한 실천 및 학문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main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 of the cell leader΄s super leadership on group member΄s self-leadership and performance, as namely, group retention intention and faith maturity. Moreover,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group member΄s self-leadership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cell leader΄s super leadership and their performance. The target sample of the study was adult protestants living a religious life in Gyeong-in district in South Korea. 416 data was collected through survey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mainly applied to analyze the data. The statistical package of SPSS 25.0, AMOS 25.0 were utilized to analyze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reliability, validity, and model fit, The results of the study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cell leader΄s super-leadership had positive impacts on the member΄s self-leadership and group retention intention.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cell leader΄s super-leadership and faith maturity. Second, the super-leadership had an indirect influence on faith maturity which was mediated by the member΄s self-leadership. This could imply that faith maturity could depend more on personal will and autonomy to live in religious life.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practical and academic implications were presented to enhance performance from the perspective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