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한국인 영어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영어 총칭적 명사구의 표현에 대한 서로 다른 쓰임을 어떻게 이해하고 사용하는지 영어 원어민 화자와 비교하여, 영어 총칭적 명사구의 습득 양상을 그 쓰임에 맞추어 구체적으로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연구에는 93명의 한국인 영어 학습자와 20명의 영어 원어민이 참여하였다. 실험에 참여한 한국인 영어 학습자의 영어 능력은 TOEIC 점수에 따라 상위 그룹과 하위 그룹으로 구분하였다. 총칭적 명사구의 다양한 쓰임을 정확히 논의하기 위하여 PMT(picture matching task: 그림 매칭 과제)와 FCET(forced󰠏choice elicitation task: 5지선다형 과제)를 동시에 적용해보았다. PMT의 결과, 한국인 고급 영어 학습자의 경우 불가산 총칭 명사구에 대한 총칭성은 높게 나타난 반면 단수 총칭 명사구에 대한 총칭성은 다소 낮게 나타났으며, 한국인 초급 영어 학습자의 경우 불가산 총칭 명사구에 비해 악기, 과학기사, 기술, 인간그룹, 복수 총칭, 단수 총칭 명사구 모두 낮게 나타났다. 또한 FCET의 결과, 영어 능력이 낮은 한국인 영어 학습자일수록 명사구의 형태에 따라 영어 총칭적 표현의 사용이 다르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한국인 영어 학습자들의 총칭적 표현의 인식 및 사용에 있어 관사 사용의 중간 언어 특징을 구체적으로 보여줄 뿐 아니라 향후 올바른 총칭 관사 교육을 위한 기반을 마련해준다.


This study examined the generic expressions of English in second language acquisition by examining whether Korean English learners can distinguish the differences in generic expressions according to different types of noun phrase. Ninety three Korean students and twenty native English speak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English proficiency evaluation of Korean learners who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was divided into advanced and beginner learners by TOEIC scores. We employed two different tasks, a picture matching task(PMT) and a forced󰠏choice elicitation task(FCET). PMT and FCET were implemented for both native English speakers and Korean English learners. As a result of examining PMT, it was confirmed that Korean English learners had lower awareness of English generic expressions than native English speakers. Moreover, the beginners with low English ability showed more difference than the advanced learners with high English ability. In addition, FCET showed that the use of English generic expressions differed somewhat depending on the type of noun phrases. This study showed the perception and use of English generic expressions by Korean English learners according to the type of noun phras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