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은 독립 이후 희망과 기대 속에 출발한 포스트식민 국가가 고통의 공간으로 추락한 배경을 살펴보기 위해 1994년 르완다 종족학살을 재현한 라울 펙 감독의 『4월 어느 날』을 검토한다. 구체적으로 이 글은 프란츠 파농의 논의를 참조하며 약 백만 명의 투치족을 학살한 비극이 발발한 배경과 원인을 살펴본다. 그 배경과 원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식민 지배의 유지와 강화를 목적으로 하는 분리 지배 정책에 따라 획책된 종족주의라는 식민 잔재, 둘째, 독립 이후 이전 식민 지배국이 남긴 이권과 권력을 차지하려는 종족 엘리트와 지배 집단의 탐욕과 종족주의의 악용, 그리고 마지막으로 지배 집단과 결탁한 서구를 포함한 외부 국가의 개입과 방관이다. 그리고 이를 통해 이 글은 비극이 완전히 종식되지 않았고 여전히 다른 고통이 지속되고 있음에 주목하면서, 르완다인이 만든 비극적 상황의 재발을 방지하기 위해 무엇이 요구되는지를 밝히고자 한다. 『4월 어느 날』을 통해 제안된 화해와 정의에 대한 연구는 이후 과제로 남겨두기로 한다.


This paper examines Raoul Peck’s movie, Sometimes in April representing Rwanda genocide in order to identify the main factors that reduce a post-colonial state to the spaces of suffering and poverty after independence. Concretely, the paper analyzes some reasons and backgrounds that caused the massacre of about 1 million Tutsi in reference of Frantz Fanon’s perspective. What this paper treats in detail are as follows: the tribalism as a colonial remnant, the corrupt and greedy ruling groups and ethnic elites that misused the tribalism, and the intervention and disregard of foreign states that colluded with ruling groups. Lastly, this paper shows that the genocide is not quite finished yet and another suffering continues, and identifies what efforts and changes are needed to prevent another tragedy in post-colonial states. The study of the problems of the reconciliation and justice that are suggested in the movie, will be left as a future task.